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이런 연구실이라면 다니시겠어요?

ㅇㅇ*

2018.11.01

8

7664

장점 :

1.교수님 인품보고 들어온 연구실이라, 인품 완벽, 연구에 열정적, 정치 x

2.논문 성과 좋음 (+교수님이 원생 개개인 직접 연구 및 논문 지도)

3.연구실 분위기 및 선후배 관계 좋음(수평적 분위기, 주말 출퇴근, 휴가 제한, 출퇴근 시간 제한 아무것도 없음)

4.인건비 투명(연구과제 인건비 및 풀링제로 통장에 꽂히는 돈은 온전히 그 학생 몫 + 과제 연구수당도 개인 연구 실적에 따라 원생끼리 차등적으로 분배)


단점 :

1.연구분야 특성상 학계나 일부 연구소를 제외하면 취업 풀이 좁음 (사기업 취업 상당히 어려움)

2.그에따라서 프로젝트 자체도 사기업 프로젝트는 0개

(과제 인건비는 투명하게 진행되지만 총 금액이 많지않아 등록금 내면 생활비 아주 조금 남음)


ps 저한테는 단점 1번이 너무 크게 느껴지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ㅎㅎ?*

2018.11.01

너무 완벽한 연구실을 찾고 계신건 아닌지?
ㅇㅇ*

2018.11.01

질문의 의도가 잘 전달이 안됐내요.
보통의 연구실에서 힘들어 하는 부분이, 특정 연구실에서 문제가 안되지만
그 연구실 이후의 생활, 취직이 힘든 연구실이라면 가시겠습니까?
ㅁㅁㅁ*

2018.11.01

논문 성과가 좋다는 말은 핫하다는건데

그러면 그 핫한곳이 모여있는 곳들이 있을겁니다
졸업생*

2018.11.01

저는 디테일한 종류의 고민에서 답이 쉽게 나오지 않을 땐 그 고민의 원천이 되는 좀더 큰 원칙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해봅니다. 이런 연구실이 좋은지 안좋은지 (아마 중간에 stop해야 할지를 고민할 정도라면)에 대해서 답이 쉽게 안나온다면 저같으면 제 인생을 어떻게 살지, 적어도 30대는 어떻게 살고 싶은지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할것 같습니다.
적어주신 정보에 따르면 아마 그 연구실의 졸업생들은 연구를 계속하며 학계에 남을 (낮은 확률의) 도전을 지속할 것 같네요. 아마 해외 포닥을 하면서 30대를 보내셔야 하겠네요.
저같으면 그런 낮은 확률의 도전보다는 제가 이루고싶은 목표 (가정을 꾸리고 아이도 키우는)에 집중할것 같습니다. 사기업 취업이 안되는 연구실이라면, 아마 그만두고 취업을 했을것 같네요. 결혼도 해야 하니까요.
글만 읽어보면 글쓴님은 연구 자체가 목적인 삶은 아닌것 같습니다. 연구가 수단이 되는 삶이 힘들 것이라는건 저말고도 수많은 주변 사람들한테서 들으실 것이고... 한번 인생의 큰 목표가 어디에 있는지 잘 고민해보시기 바랍니다.
p.s 대학원 생활을 하다보면 인생에 길이 몇가지밖에 안보입니다. 하나는 교수/연구원 다른 하나는 관련전공 사기업 취업이죠. 그런데 사람들은 생각보다 다른 방식으로도 많이 살아갑니다. 관심이 있으시다면 정보를 찾아보세요. 이때까지 관심이 없었던것 뿐이지 관심을 두기 시작하면 다양한 진로가 있다는걸 깨달으실 겁니다.
그곳이*

2018.11.04

글쓴이분이 계신 연구실이 어딘가요 제가 대신 들어가고 싶네요 제가 있는 곳은 장점 전부다가 반대고 플러스로 취업문도 좁네요 제가 그곳으로 갈테니 제발 알려주세요
비슷한 실험실 출신의 의견*

2018.11.06

비슷한 장단점을 가진 실험실에서 얼마전 석사 졸업을 했는데
단점 1이 크긴 크더군요 졸업하고 나니 원래도 좁은데 병특되는 곳이 워낙 적어서 고생 많이 하고 있습니다.

혹시라도 아직 미필이셔서 병특하셔야하고 박사할 생각 없이는 크게 고민 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게 아니고 해외에서는 괜찮은 분야라면 졸업 후에 해외 진출해서 견문도 넓히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제 분야의 경우는 국내에선 정말 풀이 좁은데 해외에서는 제 전공을 많이 선호하더군요. 군문제 해결해야되는거 잘 모르시고 좋은 기회가 들어오기도 하고 많이 보이기도 합니다...
학계로 진출할 생각이면*

2018.11.13

연구실적이 워낙 뛰어난 곳이니까,
박사 졸업 후 학계에서 일하시는것도 좋을 것 같네요.
사기업 취업이 걱정이시라면, 석사만 하셔도 되고 / 박사는 다른 연구실로 가는것도 방법이지 않을까요?

그래도 저는 대학원이라는곳이 사실 취업양성소 보다는 학문적으로 집중하는데 더 목적이 있는 것 같아요.
그런의미에선 정말 좋을 랩 같습니다.
OTL*

2018.11.26

아...

님은 나인가요...

저는 고민하다 결국 나왔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