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가 비인기랩이라고 판단한 근거는 1)김박사넷에 평가가 없고 2)Ph.D,M.S student 포함해서 13명 이하로 상대적으로 작은 랩인것 같고 3)외국인 학생이 많으며 타대생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이메일에 근거한 추론이라 의미 없을 수 있습니다.) 이런 근거로 비인기 랩이라고 판단해도 될까요?
2. 그리고 제가 비인기 랩임에도 지원을 하려는 이유는 제가 배우고 싶은 분야와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그렇게 연구를 많이 하지 않는 분야인 것 같더라구요.. 이 경우 비인기 랩이어도 제가 배우고 싶은 분야와 일치하면 지원해도 괜찮을까요? 아니면 비인기 랩에는 비인기인 이유가 있으니 다시 생각해 보는 것이 좋을까요? 제 생각에는 마이너한 분야라 비인기 랩인것 같기는 합니다.
3. 그리고 조금 추한 질문이기는 하지만,, 비인기 랩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들어가기 수월하겠죠..?
질문 받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행복한 아인슈타인*
2022.01.18
Ph.D,M.S student 포함해서 13명 이하로 상대적으로 작은 랩인것 같고
분야마다 13명이면 중대형일수도 있는데
2022.01.18
제가 찾아본지 얼마 되지 않아서 잘 모르겠지만 분야별은 아닌 것 같습니다..
당당한 정약용*
2022.01.18
1.
1) 상관없음
2) 13명이면 적은것 아닙니다
3) 이건 어느정도 맞고
2. 분야 때문에 비인기인거면 상관 없습니다. 교수 인성이나 실력 때문에 비인기인게 문제.
3. 아무래도 그렇죠.
대댓글 1개
2022.01.18
감사합니다! 도움많이되었습니다!
2022.01.18
1. 1)김박사넷에 평가가 없고 : 졸업생이 나이 많으면 여기 모를수 있음
2)Ph.D,M.S student 포함해서 13명 이하로 상대적으로 작은 랩인것 같고 : 2~3명있으면 비인기랩
3)외국인 학생이 많으며 타대생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 별로 많은 것 같지도 않음
하지만 외국인 학생이 글쓴이 보다 공부 잘 할수 있다는건 고려해야됩니다.
대댓글 1개
2022.01.18
넵 조언 감사합니다!
2022.01.18
13명이면 소형랩은 절대 아닙니다. 다른학교는 모르지만, 저희학교는 연간 연구실별 TO가 정해져있어서라도 13명 넘기는 연구실숫자가 많지 않아요.
다만 걸리는건 외국인 비율이죠. 외국인 비율이 높으면 웬만해서는 피하는게 좋습니다. 한국인한테 과제잡무들이 다 몰려서 진짜 거지같을거에요.
2022.01.18
2022.01.18
2022.01.18
대댓글 1개
2022.01.18
2022.01.18
대댓글 1개
2022.01.18
2022.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