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에 대해 잘 몰라서 글을 올린건데 모르는 분야에 대해 묻는것과 개발자는 무슨 상관관계가 있나요
모르는 분야에 대해 묻는걸 비난하는 대학원생의 현실인가요?
2021.08.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글쓴 분 보세요.
글에다가 AI 개발자라고 자처했잖아요?
AI 개발자라고 스스로를 부를수 있는건, 최소한 AI 라이브러리 가져다가 써본적을 넘어서, 깊게 까진 아니더라도 대강 그 원리라도 간단레벨이라도 이해하고 구현할줄 안다면 [연구]에 대한 기본 개념이 있을거고,
[연구]에 대한 기본 개념이 있다면 대학원이 단순 [공부]가 아닌, [공부]를 바탕으로 [연구]를 하는곳임을 진정으로 안다면 연구실에 꼭 들어가야하나요?와 같은 질문은 나올수가 없습니다.
즉, 나는 AI 개발자입니다 라고 말하는 순간, AI 연구능력을 갖춘 개발자를 말하는건데....
스스로 개발자라고 했으면 차라리 좋았을것을
AI 개발자라고 말하는 순간 많은 의미가 들어가서 그렇습니다.
2021.08.25
@웃는 정약용
미안하지만 너무 억지같음
나도 글쓴이분 질문 듣고 어이가 없긴 했는데 걍 넘 당연한거라서라고 하지
너말은 너무 어거지같네
2021.08.25
@웃는 정약용
'깊게 까진 아니더라도 대강 그 원리라도 간단레벨이라도 이해하고 구현할줄 안다면' 이라는 말씀은 [연구]보다는 개발의 영역이고 '구현할줄 안다면 [연구]에 대한 기본 개념이 있을거고'에서 구현할줄 아는 것과 연구의 기본 개념을 아는 것은 전혀 연관된 개념이 아닙니다 [연구]란 가설을 세워 실험을 하고 그 가설이 맞는지 검증을 하고 틀리다면 다시 실험을 하는게 [연구]입니다 개발을 할줄 안다고 [연구]에 대한 개념을 아는건 전혀 다른 영역입니다
[연구]에 대한 개념을 다시 잡고 오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직장인이다 보니 주변분들이 회사와 대학원을 병행하셔서 꼭 연구실에 들어가지 않아도 되는구나 라고 알고 있었습니다 근데 보면 대학원생 대부분이 연구실에 다니셔서 연구실에 필수로 들어가야하나요 이런 흐름으로 질문을 올렸습니다 제가 많이 알지 못해서 이런 질문을 올렸네요
울적한 레온하르트 오일러*
2021.08.25
지도교수가 허락하면 상관없어요.
2021.08.2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소속 연구실은 당연히 있어야됨
공대 대학원은 연구실에 배정되고 운영되는 방식임
유치원/어린이집에서 특정 반에 기본으로 소속되고
초중고에서 특정 학급에 기본으로 소속되고
대학에서 특정 학과에 기본으로 소속되는 것처럼
대학원은 특히 공대쪽이면 소속 연구실이 있는 상태로 진행되는 게 맞음
물론 순수학문쪽은 연구실 없이 가는 경우도 있는듯한데 그건 그쪽 분야 얘기이고 AI 포함해서 공대 분야면 소속된 연구실은 있는 게 당연함
다만 물리적으로 연구실에 계속 있어야 하는지는 지도교수가 허락하기에 달렸음
혹시라도 글 의도가 소속 연구실이라는 것이 반드시 있어야 하냐고 묻는 거면 대학원이 뭔지부터 알아보시길
만약 물리적으로 소속 연구실에 계속 있어야 하는지를 묻는 거면 지도 교수가 허락하기에 달려있음
대댓글 1개
2021.08.25
제가 직장인이다 보니 주변분들이 회사와 대학원을 병행하셔서 꼭 연구실에 들어가지 않아도 되는구나 라고 알고 있었습니다 근데 보면 대학원생 대부분이 연구실에 다니셔서 연구실에 필수로 들어가야하나요 이런 흐름으로 질문을 올렸습니다
그러면 지도 교수님의 허락에 따라 연구실과 직장을 병행해야하거나 직장을 그만두고 연구실만 다니는게 최선이겠네요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잘 참고하겠습니다
울적한 레온하르트 오일러*
2021.08.25
일단 AI대학원에 들어가는 목적을 확실히 해야 하는 거 같아요.
기반지식을 익혀서 현업으로 복귀하는 것 vs 연구 프로세스에 집중해서 연구자로 전환하는 것 이 두 가지 정도가 있을 텐데, 후자를 하고 싶으시다면 대학원 생활에 집중하시고 전자를 하고 싶으시다면 양해를 구하고 병행하는 걸 추천합니다.
2021.08.25
가능합니다 물론 연구중심 -st곳은 제약사항을 읽어봐야하지 않나 싶군요(unist,gist 같은곳은 정부나 학교자체에서 stipend 를 매월 주는데 직장다니면 이런 이해관계가 충돌하지 않을까 싶음)
대학원은 연구실 소속은 들어가도 지도 교수님과 협의하에 part time 있습니다.
중요한것은 교수님의 허락입니다. 아무래도 들어오는 학생이 full time으로 해야
수주하는 프로젝트도 참여하고 논문도 내는데 ,그냥 소속만한다면 다른 메리트는 별로없겠죠?
그래도 제 주위도 많이있더라고요 허허허...
----- ai 대학원에 관하여
ai 대학원 같은경우 워낙 인기가 많아서 full time으로 하는 동대학원생도 떨어지는 경우도 있어요.
어는 ai 대학원인지는 몰라도 교수님 정책상 full time만 받는 곳이 많은 것은 사실입니다.
2021.08.25
너무 당연한거긴하지만 ㅠㅠ
매우 어그래시브한 답변들이 많은데 무시하시면 됩니다.
필자님 같은 경우에는 산학연으로 들어오실 수 있겠네요. 직장과 대학원을 병행하는 걸로요.
과제 같은 거는 참여 하실 수 없고 장학금도 받으실 수 없어요ㅠㅠ 그래도 연구실 참여는 필수더라구요.
일단 희망하는 교수님과 컨택 먼저 해보세용
2021.08.26
파트타임 박사 가능한지 한번 알아보세용
2021.08.26
가능합니다 특히 카이스트 경우 일반장학생으로 들어가면 랩일 안하고 본인 연구만 해도 됩니다 교수님과 잘 협의하시면 되요
2021.08.25
2021.08.25
대댓글 4개
2021.08.25
2021.08.25
2021.08.25
2021.08.25
2021.08.25
2021.08.25
대댓글 1개
2021.08.25
2021.08.25
2021.08.25
2021.08.25
2021.08.26
2021.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