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제발 오르비로 가주면 안되나...
근데 디지유도 아니고 지거국은 왜 인기가 많은거임?
70
- ㅋㅋㅋㅋ 사실이라 믿지는 않지만, 너무 웃기네ㅋㅋ
학위와 연구에 평생을 갈아 넣은 수천 수만의 과학 기술인이 돌팔이 도사 한 마디에 합죽이가 되는 현실이 ㅋㅋ 참으로 세상은 요지경이구나
R&D 예산 깎는게 천공때문이라 카더라
34
- 재미없는 결과라는 걸 새로운 발견의 여지가 없어보이는 뻔한 결과라는 것이라 정의한다면 그것을 재미있게 만드는 것은 새로운 측면으로 접근한다거나 하는 등 인사이트를 발휘하는 능력이겠죠. 사과가 나무에서 떨어지는 건 누구나 아는 재미없는 결과지만 그걸 중력의 관점에서 보는 순간부터 엄청 재미있어지니까요
좋은 연구자의 기준중 하나는 재미없는 결과도 재밌게 만드는 능력이다. 동의하십니까?
23
- ㄴ 손바닥에 왕자 쓰고 나온거 보고도 증거하나도 없다고 말하는 정신력. 아직 2뽑은거 자위하고 있나보네
R&D 예산 깎는게 천공때문이라 카더라
30
- NONE OF MY BUSINESS
<가해자 실명언급> 학교폭력 및 성폭력을 일삼고 피해자를 고소한 카이스트 대학원생 고발
36
One of them 그리고 One of a kind
2021.07.16
10
28011

나는 여기서 말하는 탑5 스쿨 중 거장 그룹의 포닥임.
주변 동료들 학부를 보면 탑스쿨부터 한국으로 치면 지사립 정도 되는 처음 듣는 대학출신들까지 많은 스펙트럼을 지니고 있음. 그런데 모두에게 공통점이 하나 있음. 스스로를 출신 학교로 설명할 필요가 없다는 것. 얘기하다보면 같은 분야 사람들끼리는 모두가 아는 대표 논문 한 두편 쯤 대다수가 들고 있음. 아 그 논문 쓴게 너야? 이러면서 서로 얘기하는 경우도 많은데 출신이 어디든 본인이 출신 학교가 아니라 one of a kind 로서 스스로의 실력으로 본인 설명이 가능함. 대다수가 이미 어지간한 대학의 교수임용이 가능한 실적을 가지고 있고 본인만의 연구철학도 가지고 있음.
김박사넷에 보면 스스로를 어느 그룹의 울타리에 두고 One of them으로서 자기자신을 평가하는 글을 많이 보는데, 너무 자만하거나 낙담해서 스스로를 제한하지 말길 바람. 듣도 보도 못한 대학 출신이 Nature/Science를 뽑아내는 걸 자주 보는 것처럼 탑스쿨 학부 출신이 적응못해서 간신히 졸업하거나, 자퇴하는 것도 자주 봄. 박사는 출신보단 실력으로 평가받고, 출신학교의 One of them보단 스스로 One of a kind 인 사람이 훨씬 빛이 남. 같이 몇 마디 해보면 충분히 드러나는 부분임.
그룹을 나누어서 싸우지 말라는 소리는 아님. 하고 싶었던 말은 세계 최정상 랩에 와서 보니 생각보다 어느 길을 가더라도 one of a kind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은 존재한다는 것임. 그렇게 멀어 보였던 길이 지금와서보니 종이 한 장 차이인 걸 알게 되었고, 악조건 속에서도 그 길을 찾아낸 사람들이 생각보다는 많다는 것. 김박사넷에서 나오는 말로 자만, 낙담, 혹은 분노하며 자신을 제한하지말고 주어진 상황하에서 최선을 다하길 바람. 최선을 다한다고 항상 최선의 선택이 되는건 아니지만 뭘하든 여기의 one of them 들과 싸우는 것보단 날테니.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김GPT
소극적인 학생40
15
6855
-
79
17
14512
-
14
14
3675
김GPT
K대 학부생인데8
4
1674
김GPT
타인의 의견은 참고만 하세요.18
2
2414
김GPT
자신감이 중요한것같네요32
3
4858
-
6
11
2702
김GPT
타대생 특징8
18
5240
김GPT
자극 그 자체11
6
2426
-
45
40
74369
-
217
54
19723
-
30
26
18263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1.07.16
대댓글 1개
2021.07.16
2021.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