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비인기랩 소속인데 인기랩과 공동연구(co-work) 가능할까요?

재밌는 장 폴 사르트르*

2021.06.26

10

1623

석박통합이고 3년차인데... 솔직히 연구실이 성과가 많이 없습니다. 아이디어도 없고, 인력도 부족합니다.
혹시 인기랩 쪽과 공동연구가 가능할까요? 그 쪽 연구에 버스 탄다는 말이 아니고(물론 시키시면 하라는거 다 할 수 있습니다만...), 제가 지금 괜찮은 아이디어가 있고 진척도 조금 되있는 상태인데 여기 인력은 부족하고... 가능하면 이 기회에 인기랩에서의 연구, 학습 등에 더 참여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기고 싶어서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성실한 아이작 뉴턴*

2021.06.26

악순환 길어지기 전에 하세요.

대댓글 5개

재밌는 장 폴 사르트르작성자*

2021.06.26

근데 그럼 뭐 어떻게 시작해야할까요? 일단 현재의 지도교수님께 먼저 말씀드려야겠지요?
성실한 아이작 뉴턴*

2021.06.26

1. 연구계획을 말씀드리고,
2. 연구 속도를 높이고 퀄리티를 높일 만한 방안을 말씀드리고, (지도교수가 이상한 사람이 아니라면 학생이 이렇게 하겠다는데 토 안답니다. 저는 달아서 힘들었습니다.)
3. 인기랩과의 커넥션은 힘들 수 있는데 그것을 위해서 어떻게 준비하는 것이 좋은지 교수님의 노하우와 크게는 도움을 요청드리고, (인기랩의 경우 교수가 신경을 못 쓸 수 있는데 아이디어를 제공하면서 인건비를 받지 않는다는 메리트로 어필하는 게 좋아 보입니다.)
4. 그것을 위해서 희생할 수도 있는 무언가 (주로 authorship이 됩니다.) 에 대한 해결 방안을 토의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뜬구름잡는 소리일 수 있는데 주로 이렇게 진행됩니다.
재밌는 장 폴 사르트르작성자*

2021.06.26

3번의 인건비 부분은 당연히 희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4번의 authorship 만큼은 제가 이름 첫번째가 아니면 싫은데 힘들지요?(공동제1저자는 전혀 상관없습니다).
그리고 저도 아마 2번에서 교수님이 토 다실거 같은데... 만약 그렇게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성실한 아이작 뉴턴*

2021.06.26

그쪽은 별 문제가 안되는데 지도교수의 corresponding author 쪽 authorship이 문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쪽은 별 도리가 없네요..

IF : 1

2021.06.26

지도교수가 저자에 이름 못올리면 잘도 그리하라 하겠습니다. 그 말 꺼내는 자리에서 싸대기나 안맞으면 다행이겠네요. 여기가 무슨 미국 탑스쿨인줄 아시나…
착한 베르너 하이젠버그

IF : 1

2021.06.26

가능하지만 힘들겁니다. 우선 지도교수들 끼리의 교신저자 문제 해결 안되면 안하느니만 못한게 될거고요.
인기랩 졸업한 학생 입장에서는... 저 개인적으로는 spk 자대생 위주의 대형 인기랩 박사 받았는데 간혹 타대 작은랩 학생들이 좋은 아이디어 있다고 연락오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런경우 저희 연구실은 탑 5%이하 저널은 서밋 조차 하지 않아서(말 그대로 퀄리티가 떨어진다고 보면 아래저널에 쓰는게 아니라 퀄리티를 올리거나 프로젝트 자체를 접습니다) 보통 타대 교수님이 직접오셔서 열정적으로 이끌어가지 않는 이상 금방 흐지부지 되었습니다. 객관적으로 생각해보시고 이 아이디어면 탑저널은 무조건 간다라고 판단되지않으면 그 쪽에선 별 관심없을 겁니다. 탑저널 쓰는게 그리 어려운 것도 아닌데 남하고 같이할 이유가 별로 없거든요.

대댓글 1개

2021.06.26

이게 정확한 댓글이네요...

2021.06.26

윗 댓글에 공감합니다. 아이디어도 인력도 없는 상태에서 연락하면 받을 이유가 없죠.. 보통 좋은 거 있으면 자기 랩 사람들이나 적어도 자대 학부생 줄텐데요. 둘다 있는 상태에서 조언받고 싶다, 조금만 도와줄 수 있냐 정도의 버스를 태워준다는 제안을 해야 (그리고 인기랩에서 쓰는 저널과 동일 수준이어야) 네트워킹이라도 될거에요.
후회하는 카를 가우스*

2021.06.27

저는 운좋게도 실적을 잘내는 연구실에 있고, 교수님이 상당히 오픈마인드셔서 여러 연구실(주로 같은학교 타학과/같은학과 교수님) 및 기관들과 공동연구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저 또한 다른 박사님과 교수님을 공동교신으로 넣어서 논문을 제출했고요. 근데 해당 박사님도 말씀하셨지만, 저희교수님과 같이 공동지도를 거리낌없이 맡아주시거나 제안해주시는 분들이 많지않다고 했습니다.
여튼 저도 제 분야는 연구실중 저 혼자해서 교수님께 허락받은후 다른 젊은 박사님께 물어봐서 공동지도를 받은 케이슨데, 1. 본인 아이디어가 괜찮고,(즉 상대방도 공동연구를 맡아서 연구실적으로 이어질수있을지) 2. 교수님/박사님들끼리 합의가 되야 공동지도가 가능합니다. 또한 물어보실때는 직접 찾아가서 이런이런 연구 고민하고있다고 말씀드리는게 좋습니다. 아니면 지금 저도 다른연구실에서 컨택와서 같이 공동연구하고있는것도 있는데, 학생들끼리도 잘 뭉쳐서 공동연구하는 케이스도 있습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지도교수끼리 합의가 되있어야 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