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부연구생이 스펙이 될 수 있는건가요?

2021.05.31

13

26962

석사처럼 문서화된 스펙과는 다르게 학부연구생은 경험하는 것 자체만으로도 실력이 향상되고 자소서에 쓸 수 있는 이야기가 많아진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궁금한건 학부연구생 기록도 어떠한 증명이 있고 이것을 제출하는 절차가 있는건가요, 아님 정말 단순히 제가 참여한 과제를 입사 지원과정에서 언급하면서 어필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의의가 있는건가요?
예컨대 제가 랩실에 고정적으로 소속되어 급여를 지급받으면서 일하는 연구생으로써 과제에 참여한 것이랑
랩실에 소속은 되어 있지만 아르바이트 형태로 일하면서 연구자사이트에 등록은 안하고 급여기록도 없이 따로 급여 받으면서 과제에 참여한 것이랑 다른 취급을 받나요?
그리고 만약 나중에 구직활동을 할 때에는 제가 참여한 연구과제에 이름이 실려있는지 확인하는 절차 정도는 거치는 건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1.05.31

글쎄요. 학부연구생은 스펙이기보다는 그냥 연구 활동을 미리 해보는 것이라고 생각하는게 좋을 듯 하네요.
자소서에 쓴다고 유의깊게 보지는 않더라고요.
연구자 등록을 안한 프로젝트는 증명하기 힘들겁니다.

대댓글 3개

2021.05.31

그러니까 연구자 등록을 안하면 애초에 과제에 이름을 실을수가 없고, 연구자 등록을 하고 제 이름이 들어간 과제를 나중에 어필하더라도 그거 자체도 별 의미가 없다 이건가요?

2021.05.31

의미 없습니다.
학부연구생만이 아니라 학계에서 정량지표로서의 과제는 '수주'한 PI급에 의미가 있지 과제참여를 정량실적으로 인정해주는곳은 없습니다. 당연히 확인도 안합니다.
그 과제에서 나온 돈을 바탕으로 만들어낸 결과물이 중요한겁니다.
후회하는 아인슈타인*

2021.05.31

연구자 등록을 하건 프로젝트에 이름이 들어가건 말건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증명을 할 필요도 없구요. 그냥 cv에 한두줄 적으면 됩니다.
후회하는 아인슈타인*

2021.05.31

님이 축구 선수라고 치면, 평소에 훈련 열심히 하고 운동 많이 했다는게 학부 연구생 경력이고, 실제로 경기 나가서 패스하고 득점하는게 연구 실적이죠. 연구 실적이 없이 맨날 연구 경력만 쌓아봤자 큰 도움은 안되고요, 그나마 열심히 하려는 의지는 있네 이 정도로 봐줍니다.
꼼꼼한 에르빈 슈뢰딩거*

2021.05.31

학부연구생 스펙 자체는 별로 안중요하고 무슨 학부연구생동안 뭘 배우고 무슨 플젝한건지가 중요. 연구에 도움되는걸 배우고 유의미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다른 경험이 있다면 그거랑 차이 없을 듯. 예를 들어 정출연 인턴이나 학부생연구프로그램 등등이 있음

대댓글 2개

꼼꼼한 에르빈 슈뢰딩거*

2021.05.31

입시든 취업이든 면접에서 학부연구생 일하면서 무슨 일 했냐 물어보지 학부연구생 했네요? 하고 끝나는게 아님
꼼꼼한 에르빈 슈뢰딩거*

2021.05.31

연구자 등록은 학부연구생도 다하니까 왠만하면 기록 남는데 더 확실하게 하고 싶으면 과제 참여 확약서나 산학단에서 증빙자료 받아서 내면 됨

2021.05.31

어디서 무슨연구를 하고 결과물이 무엇인지 기록이 남으면 좋은 스펙이죠

대댓글 1개

2021.05.31

기록물이란게 연구를 했으면 논문정도 남기는게 좋아 보입니다. 최소한이라도 학술대회 논문이라도 가볍게 쓰는게 좋아요.
무서운 막스 플랑크*

2021.05.31

지원해보시면, 정말 대부분 학부연구생 경험은 있습니다. 특히나 spk 같이 자대생들한테 학부연구생 경험이 용이한 시스템을 만든곳들은 더더욱요.
따라서, 학부연구생 경험이 커리어나 학생 대학원생활에 도움은 된다고 생각하지만, 너무 평범한 스펙중 하나입니다.
그러기때문에 좀더 정량적으로 본인을 어필할수 있는 실적(적어도 국내학회 포스터세션정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요. 토익 8~900점이나 학부연구생 경험(실적x)은.. 정말 정말 대학원입시에는 흔한 스펙입니다.
그런이유로 저라도 학부연구생경험이 차라리 없어도, 학부/학점 좋은사람을 더 신뢰할것 같긴해요.

대댓글 1개

2021.06.01

그건 아님

2021.06.01

학부 연구생 기간동안 과제 참여해서 기록이 남았거나 논문이 있거나 하면 경력이라 생각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