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하게도 원하는 대학원에 붙게되어 정말 기쁘긴 하지만 걱정거리도 있습니다. 저는 학부연구생도 해보지 않은 무스펙으로 합격하였기에, 현재 석사이상 재학중이신 분들께 큰 틀에서 무엇을 하고 가는것이 가장 좋은지에 대해 여쭙고 싶습니다.
영어라고 한다면 공인영어 중 어떠한 것으로 얼마나 취득하는게 좋은지, 아니면 단순히 학부때의 전공 공부를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1.05.25
연구실 컨택하고 대학원 합격하셨다면 그 연구실에서 최근 3년 이내에 나온 논문에 대해 배경지식을 공부하시고 가시고요, 대학원 입학 후 연구실을 선택한다면 학과 연구실에서 각각 어떤 일을 하는지 정도는 파악해 두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공인영어성적이 필요한 경우엔 요구사항에 맞춰서 준비해두는 것이 좋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논문 많이 읽으시면서 영어 공부 하시는 것이 도움이 될 듯 합니다.
대댓글 1개
2021.05.25
논문 읽으며 영어 공부를 하는게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허기진 공자
IF : 1
2021.05.25
저라면 최소 1-2주는 여행갑니다. 현재는 해외는 불가능하니 국내라도... 입학하면 자유롭게 어디갈 기회가 짧게는 2년(석사) 길게는 6-7년(박사) 까지 없습니다.
그리고 나서 선배들한테 추천할만한 리뷰 논문들 좀 보내달라하세요.
(지나가던 s대 학석박 졸업자)
대댓글 1개
2021.05.25
안그래도 여행을 갈까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말씀 들으니 갔다오는게 좋을 것 같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IF : 5
2021.05.25
운동 열심히 하면서 노세요. 앞으로 이런 시간 더 없습니다
공부하는건 지금 해봤자 가이드해줄 사람도 없고 효율도 안나고 나중에 백퍼 내가 굳이 왜그랬을까 하게되실거임
대댓글 1개
2021.05.25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오만한 장 폴 사르트르*
2021.05.25
노는게 답이긴 한데 안놀아지죠 ㅋㅋㅋㅋ 연구실 분야 리뷰논문 공부 추천드립니다, 무슨 페이퍼 읽어야할지 감안오시면 교수님한테 미리 읽고싶은데 논문 추천해주실수있냐고 함 여쭤보세요
대댓글 1개
2021.05.25
너무 노는 것 같아서 걱정이 되더라구요. 한번 선배들께 연락드려 여쭤보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2021.05.25
대댓글 1개
2021.05.25
2021.05.25
대댓글 1개
2021.05.25
2021.05.25
대댓글 1개
2021.05.25
2021.05.25
대댓글 1개
2021.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