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유니스트 대학원

2020.12.03

19

7113

중경외시 라인에서 유니스트 대학원 가려면 서류 통과하려면 학점 커트라인이 어느정도인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Thomas Hobbes*

2020.12.03

3.5

2020.12.03

3후반 4초반이면 될 거예요

2020.12.03

ㄴ유니스트 내에서도 학과에 따라 좀 다를 것 같아욤 배터리면 좀빡셀수도..
Gary Becker*

2020.12.03

유니짜장? 자대를 가지 왜 굳이?

2020.12.03

3.0이어도 레드카펫 깔아줌 걍 프리패스
Fritz Haber*

2020.12.03

3.5면 충분할듯

2020.12.03

3.0~3.5선에서 학점이여도 갈 수 있는건가요?
Thomas Alva Edison*

2020.12.03

중경에서 ist갈때 3.5면 오버스펙임

2020.12.03

예전에 글 쓰신분 아닌가요?
3초반은 죄송하지만 그 학부로는 힘들어요
예전에 다른 분들도 그렇게 말씀하셨을텐데요
Thomas Alva Edison*

2020.12.03

?? 중경라인 윗학부에서 유니를 갈 일이 있나?ㅋ
그리고 3 중후반이 왜 거기를 감
3초중반이니까 가려는거지

2020.12.03

랩바랩입니다.
전국에서 노는 인기랩은 3후반4초고, 비인기랩은 3초중반도 괜찮습니다.

2020.12.03

서류에서짤릴까요?

2020.12.03

위분들이 대학원생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
단순히 대학원을 아직도 중고등학생때나 사용하던
스카이 서성한 중경외시 건동홍... 이 순서대로라고 생각한다는 점.

나는 유니스트도 중경외시도 아닌데, 대학원은 어느 교수님 밑에서 어떤 지원을 받아 어느 정도의 성과를 내느냐가 결국에 가장 중요한 요소. 즉 유니스트 최상위권 랩이 서포카 하위 랩보다 훨씬 나을 수도 있다는 뜻.

물론 김박사넷 사용자 중 대다수를 차지하는 학부생들이 원하는 답은 "그래서 어느 대학이 더 나은데?" 겠지. nature index를 기준으로 논문 개수와 영향력 점수를 바탕으로 볼때 대한민국 연구기관 순위는 다음과 같음.

1. 서울대 2. 카이스트 3. 연세대 4. IBS 5. UNIST 6. 성대 7. 포스텍 8. 고려대 9 한양대 10. KIST

물론 이 지표엔 맹점이 있음. 일단 소수 정예인 포스텍은 필연적으로 낮은 연구점수를 가져갈 수 밖에 없다는 사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표들은 우리나라에서 어느 연구기관이 우수한가에 대해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는데는 이견이 없을 것.
Thomas Alva Edison*

2020.12.03

ㄴ 몇안되는 스타교수한테 몰빵해서 순위 챙기는거 누가 몰라요
네이버 카페랑 여기에 자주 보이는 유니 훌리 같으시네 ㅋㅋ 저런 랭킹 들고다니는게
유니랑 동급이 디지스트,지스트는 순위 어딨대요?
Thomas Alva Edison*

2020.12.03

저번 유니 타대생이 진지하게 쓴
유니>>>디,지 뭐 그런 웃긴 글 기억나는데
혹시 동일인이신가

2020.12.03

ㄴ 누구신지 모르겠는데 유니스트 관련 글과 댓글은 처음 썼습니다. 저 유니스트 출신도 아닌데 뭐하러 그런 불필요한 짓을 하겠습니까? 내가 다니는 학교도 아닌데.

2020.12.04

네이버 카페에 글 쓰신 분과 동일인물이라고 가정하고 답변 달아 볼게요. 만약 동일인이 아니라면 미리 정말 죄송합니다.

올해 4월만 해도 카페에 올리신 글 보니까 학점이 3.5/4.5였는데
올해 12월에 올리신 글 보니까 학점이 3.3/4.5로 떨어지셨네요.
또 이전에는 포스텍 진학을 희망하셨었는 데 그새 포항공대에 떨어지셨는 지, 아니면 중도포기하셨는지 몰라도 희망 학교가 유니스트로 변경되셨구요.

냉정하게 말해서, 님이 진짜로 대학원에 가고 싶으셨으면 학점관리 정도는 철저하게 하셨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한 학기만에 학점이 3.5에서 3.3으로 떨어질 정도면, 그것도 고학년에 학점이 그렇게 떨어질 정도면 님은 그냥 공부를 안 한 겁니다. 유니스트고 포공이고 뭐고 냉정하게 말해서 그냥 공부를 안 한거에요.

그러고선 네이버 카페나 김박사넷에 "중경외시라인 3.5/4.5 정도인데 포항공대 합격 가능할까요?", "중경외시 라인 3.3/4.5인데 유니스트 통과 가능할까요?" 정도 글만 싸지르고 있는 거에요. 공부 하신거 맞나요? 대학원 정말 가고 싶은 거 맞나요? 학점은 그냥 내팽겨치고 그냥 듣고 싶은 말만 듣고 싶은 거 아닌가요?

중경외시라인이든 서성한 라인이든 간에 학점이 3점 극초반이면 그냥 공부 안 한겁니다. 학점이 곧 해당 과목에 대한 깊은 이해를 의미하는 건 아닙니다만 학점이 낮으면 그걸 보는 사람들은 그냥 그 학생이 공부를 안 했거나 덜 했다고 판단합니다. 냉정하게요.

이건 학벌 문제가 아닙니다. 냉정하게 중경외시 라인 학점 3.3이 그 아랫 라인 3.5~4.0 맞은 사람보다 훨씬 그 학과 과목을 잘 이해했다고 할 수 있을까요?

현실적으로 바라보십시오. 억울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학점과 별개로 연구를 잘 할수도 있겠죠. 그렇지만 대학원 입시는, 특히 SPK나 과기원 입시는 서류전형에서 학점과 스펙으로 승부합니다. 님이 학부 시절 공부를 잘 했는 지 안 했는지로요. 행복회로 적당히 돌리시고 현실을 보십쇼

2020.12.04

이 사람 지독하네 사람들이 뭐라고 하든지 말든지 써보고 떨어지면 깨닫겠죠.
V.S. Naipaul*

2020.12.04

윗댓말대로 중경시 라인에서 3.5면 -ist 가는데
그렇다고 ist가 별로인건 아님
ist갈바에 자대가라는데
학부는 중경시 - ist 차이가 없을지 모르겠지만
적어도 대학원에선 연구력,인프라 하늘과 땅차이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