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이 부족한 사람도 끌고가려고 푸쉬하는 스타일의 교수님도 있고
능력이 부족하면 철저하게 방치하는 스타일의 교수님도 있고
교수님마다 스타일이 다른거죠. 일반화 불가능합니다.
님이 희망하는 연구실의 지도교수님이 어떤 스타일인지는 미리 알아보셔야 합니다.
2020.10.22
교바교학바학랩바랩사바사케바케원바원
2020.10.22
역량이 안되어도 관두지않고 안버리고 지도도 안해주지만 석사2년 졸업시켜주는 곳도 있습니다.
교수란 대학교 직원요.
2020.10.22
사실 우리나라에서는 잘 버리진 않아요. 어떻게든 졸업은 시킵니다. 그래서 실력없는 박사도 많아요. 나의 20대 청춘을 보내 받은 박사인데 실력 형편없는 박사면 너무 슬플 것 같아요. 잘 고민해서 시작하시기를 바랍니다.
Edvard Grieg*
2020.10.22
ㄴ 그래서 국내에서는 spk spk 하는 겁니다. 이외의 대학에도 충분히 좋은 랩이 있을 수 있는데, 대학원도 학교라 다른 랩, 다른 교수님 수업 이런 거 다 영향 받을 수 밖에 없어요.
2020.10.22
자연계고 진짜 전공기초도 모르는 무슨 예체능인지 상경계인지 모를 외국애를 받아서 (영어 한국어 둘다 존못) 졸업할 수 있긴한가 했는데 나중에 보니 석사 2년 컷 했더라. 그렇게 딴 학위로 자기 나라에서 약팔이는 할 수 있겠지만 그걸 활용해서는 못 먹고 살지.
Otto Heinrich Warburg*
2020.10.22
우리나라도 외국처럼 실력 안되는 애들은 가차없이 짤라내야 한다. 그나마 국내 사정이 좋다는 spk에서도 수준 미달들이 대학원에 온다.
Pär Lagerkvist*
2020.10.22
미박 중인데 여기서 하는 방식은 1차로 입학하자마자 기초지식으로 거르고 (오리엔테이션에서 이걸 "입학전형 실수 만회"라고 표현) 2년내에 퀄로 연구능력으로 거름 (학과 안내서에 "스스로 할 능력이 안되는 학생들이 계속 남지 않도 박사가 아닌 다른 길을 빨리 찾도록 하기 위해").
현실적으론 1년차때는 따라올 수 있게 지도하다가 2년차 이후에 가망 없으면 (ex. 퀄 탈락) 버림.
이렇게 학사관리가 철저하지 않으면 학교 평판 나빠진다고 생각하는 듯.
Walt Whitman*
2020.10.22
교수마다 다 자기 교육철학이 다르죠
도제식이여서 지도교수의 교육철학에 많이 좌우됩니다.
노벨화학상으로 자주 언급되는 한국에 한 교수님도 통합으로 학생받는데 못따라올거같은 학생은 빨리 석사전환시켜서 석졸로 내보낸다고 하네요
2020.10.22
2020.10.22
2020.10.22
2020.10.22
2020.10.22
2020.10.22
2020.10.22
2020.10.22
2020.10.22
2020.10.22
2020.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