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교수님께서는 학점 좋은 것보다 인턴활동때 더 활동을 잘하는걸 더 선호한다고 대학원생한테 들었어요
만약 인턴활동 같은 평가할만한 지표가 없으면 학교, 학점을 보시고 선발하시구요)
현재 서울대에서 인턴하고 있고, 약 9개월 정도 하고 있는데, 인턴은 꽤 길게 했지만 교수님이 선발을 해주실지는 의문이 계속 듭니다...
이렇게 인턴을 오래했음에도 불구하고 컨택해서 떨어진 경우도 있었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0.12.08
학점에 대한 이야기는 다른 분들이 많이 해줄 것 같으니 인턴에 대한 이야기만 해보죠.
인턴 기간이 꽤 깁니다. 그건 긍정적으로 참작할 측면입니다. 다만 단순히 인턴을 했다고 해서 뽑히는 연구실은 인원 수급이 잘 안 되는 연구실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자대생들이 많이 지원을 안 하는 연구실이라든가 실적이 잘 안 나오는 연구실일 수도 있죠. 즉, 서울대 정도 되면 인턴들끼리 경쟁을 해야 하는 곳도 있습니다. 님이 속한 연구실이 어떤 랩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으므로 뭐 구체적으로 뭐라 말씀드리기는 어렵네요.
더욱이 인턴 기간도 물론 좋긴 하지만 인턴 기간 동안 '잘' 해야 교수님 눈에 띌 수 있을 겁니다. 몇몇 교수님들은 신입생 선발 시 인턴을 했던 학생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시기는 하지만 인턴을 했다고 해서 좋은 모습을 보여드리지 못했다면 우선순위에서 밀릴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즉 인턴 활동이 합격을 보장해 주지는 않는 다는 의미이죠.
정리하자면, 우리는 님이 인턴활동을 얼마나 잘 했는 지 몰라요. 그래서 학부, 학점 그리고 기타 스펙으로 판단할 수 밖에 없죠. 교수님의 기준은 또 다를 수 있어요. 교수님만의 주관이 있을테니까요. 따라서 님이 속한 연구실이 인턴 간 경쟁이 있는지, 본인 및 연구실 구성원들이 판단하기에 본인이 인턴 기간 동안의 퍼포먼스가 어땠는 지, 기존에 인턴을 했던 사람들은 모두 연구실 진학에 성공했는 지 등으로 판단해보시기를 추천합니다.
2020.12.08
솔직히 나라면 안뽑음
2020.12.08
혹시 봅스터홀? 학점이 왤케낮으시지 근데..
2020.12.08
인턴 활동에 대해서는 주어진 것에 저는 최선을 다했고, 모든 주어진 프로젝트는 성실하게 다 성공적으로 끝내기는 했습니다.
꽤 어렵다고 한것도 다 하기는 했습니다.
하지만, 인턴을 오래하면서도 떨어진 케이스가 꽤 있었는지 궁금하네요..
2020.12.08
그럼 인턴기간 동안의 퍼포먼스가 좋았다는 전제 하에 기존에 연구실 인턴을 했던 사람들 중 연구실 진학에 실패한 사람이 있는 지 대학원생들에게 지나가는 식으로 한번 물어보세요.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인턴을 오래했든 안 했든 그건 중요하지 않을 수 있어요. 결국 뽑는 건 교수님인데 교수님의 주관이 그걸 중시하는 지 아닌 지 우리는 알 수 없으니까요.
그리고 본인이 연구실을 둘러보면 어느 정도 감이 올 겁니다. 주변에 자기 말고도 학부생 인턴이 있는 지 없는 지를 보세요. 자대생이든 타대생이든지요. 자대생 인턴이 있고 인턴 출신 자대 대학원생이 있다면 연구실이 나름대로 괜찮다고 판단이 되고 인턴 경험이 있는 타대 출신 대학원생이 있다면 님도 어느정도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겠죠. 또 그 사람이 님의 경쟁자일 수도 있구요. 경쟁에서 밀리면 떨어질 수도 있는 건 당연한 겁니다.
주변에 인턴이 없다면 자대생들은 미리 알고 다들 안 가는 연구실일 가능성이 있으니 그건 본인이 직접 판단해보세요.
Wassily Kandinsky*
2020.12.08
서울대 아니면
자대 인기랩도 힘들듯..
이 악물고 하세요
2020.12.08
학점이 너무 구지네요. 다른 스펙 있어요?
Walther Bothe*
2020.12.08
포공, 카이 인턴하고 떨어진 케이스 셋 봤습니다.
서울대는 아직 못봣네요.
Walther Bothe*
2020.12.08
ㄴ 참고로 서울대 까는 댓글이 아니라 그냥 제 경험담입니다.
결론은 떨어질 수도 있다는거에요
2020.12.08
2020.12.08
2020.12.08
2020.12.08
2020.12.08
2020.12.08
2020.12.08
2020.12.08
2020.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