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h-index가 큰 의미 있는거임?

2020.06.09

5

10048

분야별로 논문 피인용되는 정도가 다르지 않음?

반도체 분야 교수랑 전합성 분야 교수랑 h-index 나오는 정도가 당연히 다를건데 h-index만 가지고 이 연구자가 잘하네~ 판단이 되는건지 모르겠네.

분야별로 h-index 평균치같은게 있는 것도 아니고 보통 그걸 고려하면서 비교하진 않는 것 같은데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0.06.09

분야내에서 서로 비교하면 의미있지

2020.06.09

논문을 양적으로 부풀릴라고 하도 말도안되는 연구해서 sci 갯수만 늘리는 세상이기에...
어느정도 의미는 있습니다.

2020.06.09

내가 아는 교수님 중에선 (소재와 소자의 중간쯤)시편만 타 그룹에 제공하면서 공저자로 자주 들어간 교수님 있음. 재밌는 점은 타 그룹이 네이처 공장급이라 그 교수님 h-index 도 같이 떡상한 경우도 있음(정작 자기 랩에서 쓴 논문들은 그닥..)
h-index는 연구자를 정량평가할 수 있는 여러 지표들 중에서 하나일 뿐이라고 생각함

2020.06.09

2,3,4,5저자로 이름만 들어가도 오르는게 h-index인데...
PI이전에는 1저자, PI이후로는 교신만 세야한다고 생각함
Paul Verlaine*

2020.06.09

윗분 말대로 여러 정량평가할 수 잇는 지표중 하나라고 봅니다.
Journal category ranking도 분야에 맞춘 조건이라해도, 사실 그 분야의 저널숫자가 적으면 2등만해도 8%이런반면, 그 분야에 저널이 300개면 10등해도 3%가 되기도 하고요..
IF는 당연히 분야특성을 엄청 타고, 어느정도는 허수기도 하고요..
그래도 한 분야에서 오랫동안 있으면 굳이 수치를 보지 않아도, 같은분야 연구하는사람이면 대충 어느저널에 몇편정도 썼는지만 봐도 사이즈 나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