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CL은 다양한 암호 이론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응용 방법을 연구하는 연구실입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양자내성암호(설계, 분석, SW/HW/PIM 구현), 완전동형암호(이론, 응용, SW/HW 구현), 프라이버시 강화 기술(MPC, ZKP, DP) 등 암호 기반 및 응용 기술을 포함하며, 이를 활용한 인공지능 보안 및 차량 보안 기술 강화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수학적 원리, 프로그래밍 능력(C/C++/Python/Java 등), 하드웨어 설계(Verilog) 등 EECS(전기전자컴퓨터공학) 및 수학 전반에 걸쳐 암호의 이해와 응용에 필요한 폭넓은 지식을 다룹니다.
또한, 다양한 주요 대기업과 협력 과제를 수행하며, 해당 기업의 연구원들과 긴밀한 교류를 통해 공동 연구의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학생들이 향후 취업 및 진로를 결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아울러, 대규모 국책과제의 주관 기관으로서 양자내성암호, 양자보안, V2X 차량 보안과 같은 핵심 연구 주제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학생들의 실무 적응력 향상을 중요하게 여기며, 이를 위해 다양한 내·외부 교육을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 활동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인건비와 연구비 지원을 보장하여,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연구분야 키워드
#다자간연산
#부채널분석
#양자내성암호
#영지식증명
#완전동형암호
#인공지능보안
#자동차보안
#프라이버시 강화 기술
졸업생 정보
배출된 졸업생은 없지만 여러 주요 대기업과의 다양한 과제를 진행하며, 해당 기업의 파트너사의 연구원들과 활발한 교류 및 협력 연구의 기회를 얻을 수 있고, 이는 향후 취업 및 진로를 정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연구실 지원 방법
대학원 진학: D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또는 인공지능전공 중 선택하여 석사/박사/통합 과정에 지원할 수 있습니다. TO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지원을 희망하는 경우 김영식 교수에게 CV와 성적표를 이메일로 제출한 후, 면담 일정을 조율하여 대면 또는 비대면 방식으로 상담을 진행하기 바랍니다. 입학은 봄 학기의 경우 하반기에 3차까지, 가을 학기의 경우 상반기에 1차까지 진행됩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DGIST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면담 결과에 따라 학부연구생과 동일하게 입학전 연구원으로 기초 교육 이후 연구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연구실 문의: 연구실 랩장 및 소속 학생들에게 연구 및 생활과 관련하여 먼저 이메일로 문의하는 것을 권합니다.
박사후연구원 모집: 암호 및 그 응용 분야 전반을 전공한 연구자는 지원 가능하며, 관심 있는 분들은 PI에게 이력서를 이메일로 제출한 후 면담 일정을 조율하여 대면 또는 비대면 방식으로 상담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InnoCORE 포닥의 경우 최소 연봉 7500만원(4대보험 포함).
학부연구생 모집: CV/성적표와 함께 자신의 관심 분야와 지원 동기를 적어 보내 주신 후 면담 일정을 잡기 바랍니다. 면담 후 기본 학습 자료를 기반으로 학습을 진행한 후, 일정한 평가 후에 연구원으로 연구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학부 연구생에게도 기본적인 인건비가 지급되며 외부 기관(타대학) 소속 학생의 경우 교내 기숙사에 입주하여 재학생과 동일하게 연구 활동이 가능합니다.
자격 조건
본 연구실에서는 암호 및 그 응용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이를 위해 폭넓은 지식이 활용됩니다. 특히 양자내성암호의 수학적 원리, 공학적 구현, 실제 시스템 응용에 이르는 전 분야를 다룹니다. 동형암호를 필두로 프라이버시 강화를 위한 다양한 암호학적 기법을 연구합니다.
이를 위해 수학적 개념부터 프로그래밍, 컴퓨터 구조, 하드웨어 설계(Verilog)까지 다양한 역량이 요구되지만, 연구 주제와 전공에 따라 필요한 기술과 지식은 다를 수 있습니다. 특히, 학부를 갓 졸업한 학생들이 모든 분야에 익숙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며, 사전 면담을 통해 개별적인 학습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입학 후에도 다양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여 각자의 역량을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합니다.
대우 조건
DGIST 대학원에 모든 석박사과정의 국비장학생은 등록금이 면제 되며 기본적인 “학생지원경비+학생인건비”를 지급받습니다. https://www.dgist.ac.kr/kor/sub05_01_04_01.do 여기에 연구실에서 수행하는 연구과제에 참여하면서 석사는 규정에 따라 최대 월 220만원, 박사는 월300만원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성과에 따라 과제에서 연구수당이 지급됩니다. 실제 지급 규모는 학생과의 개별 면담을 통해서 정해집니다. 등록금 걱정이 전혀 없으며, 풍부한 연구비를 기반으로 학생이 생활비 걱정 없이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인건비와 연구비를 지원 받게 됩니다.
박사후 연구원 1) 분야 - 양자내성암호 (설계,분석,SW/HW/PIM구현) - 완전동형암호 (이론/응용/SW/HW구현) - Privacy Enhancing Technologies 등 암호 응용 관련 전 분야 - Vehicular network security 2) 채용인원: 1명 3) 박사학위 취득일 기준 만 5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수시 채용, 만 5년 경과한 경우 DGIST 내부 규정 절차에 따라 연구원으로 임용 4) 근무지역: 대구 현풍읍 테크노중앙대로 333, DGIST 5) 근무시간: 주5일, 8시간. 선택적 근로시간제 적용 가능. 원내 규정에 따른 휴가. 6) 보수: DGIST 내부 규정 및 지원자 경력에 따라 산정 (경력과 실적에 따라 다르나 국내 최고 수준 보장), InnoCORE 포닥의 경우 최소 7500만원 이상의 연봉 보장. * 지원관련 문의: ysk@dgist.ac.kr 로 CV와 함께 연락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