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석사가 논문 쓸 수 있는 환경

2019.01.17

9

7897

현재 대학원 컨택을 앞두고 랩실 서치중인 공대 졸업생입니다.

관심 있는 서울대 랩실이 생겨서 컨택하고자 논문을 읽어보는데 석사가 쓴 국제 논문은 근 몇 년간 전무하고 전부 박사과정 or Alumni들이 쓴 논문밖에 없습니다.

분야가 마음에 들고 공부하고 싶은데 석사 후 유학도 생각이 있어서 석사 때 국제 논문을 써야하는 상황입니다만, 위와 같은 상황이라면 석사가 논문 쓰기 힘든 환경의 랩실인걸까요?(예를 들어 석사는 플젝 일만 시킨다 등)

또 현재 자대가 이러한 분위기의 랩실이 대부분이여서 서울대를 생각했는데, 석사가 논문 쓰기 좋은 환경은 서울대보다는 카이스트인걸까요? 서울대가 자대와 석사가 처한 환경이 비슷한 것 같아 분야만 좋다고 가기에 겁이 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19.01.17

석사 때 1저자 논문을 쓸 수 있을지는 학교보다는 연구실과 분야, 그리고 교수의 역량에 달렸습니다. 해당 분야가 상대적으로 논문을 내기 쉽고 연구를 개인 단위로 진행하는 연구실이라면 석사 때라도 해외 학술지 1저자 논문을 가지고 나오는 것이 가능하나 논문을 내기 힘든 분야이고 연구를 팀단위로 진행하면서 선배한테 1저자를 몰아주는 연구실이라면 힘들겠지요. 그리고 1년에 내는 절대적인 논문 개수가 많은 연구실이 석사때 1저자를 쓸 수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같은 학교라도 연구실마다 상황이 다르니 한번 잘 알아보세요.
Joseph Erlanger*

2019.01.17

윗분 말씀하신것처럼 연구실 홈페이지 퍼블리케이션 내역을 자세히 보시는게 가장 정확하겠네요.
석사가 국제 논문 쓰는건 교수나 선배들 등 외부요인이 더 큽니다.
Alfred Marshall*

2019.01.18

교수 역량이 가장 중요합니다. 교수가 멱살캐리하는 랩이면 석사때 탑티어 논문들 잘 나옵니다.
제가아는 모 랩의 경우 석사학생들이 억셉율 10%대 최상위학회 논문을 몇편씩 내더군요
비슷한 전공하는 타 랩은 박사 졸업할때까지 그 학회 논문 한편도 못 내구요

결국 교수 수준 차이입니다.

2019.01.18

현실적으로 석사과정 박사과정 떠나서 논문 퍼블리쉬 하는건 운빨50% 나머지 50%는 운빨입니다.

2019.01.18

댓글 수정하겠습니다. 나머지 50%는 주변인 파워라고 적으려다가..

2019.01.18

상세하게 댓글 적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연구실 홈페이지 퍼블리케이션 내역을 보았는데 1년에 내는 절대적인 논문 개수도 매우 많은 편이고 대부분 좋은 저널에 논문을 내고 있는 상황이나 근 3년간 석사과정이 쓴 논문을 발견하지 못하여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분야도 논문 내기 쉬운 분야라 알고 있고, 비슷한 분야의 다른 연구실에서 일해본 경험이 있는데 개인 단위로 논문 내는 분야입니다.
실적이 좋은데도 석사들이 논문 저자로 들어가지 않던데 연구실 상황을 상세하게 알 수가 없어서 여기에 고민 상담을 했는데 결국 가서 일해봐야 알겠군요..

2019.01.18

참고로 연구실 홈페이지는 연구실마다 논문 올려두는 기준이 달라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어떤 곳은 중요한 논문만 게시하는 곳이 있고 어떤 곳은 다 올려놓기도 하고...

2019.01.18

현재 재학중인 석사생의 논문이 없는 것이라면 한번 석사졸 alumni의 논문이 있는지 찾아보세요. 논문을 석사 때 쓰더라도 졸업 후에 게재되는 경우도 생각보다 많습니다.
Joseph Erlanger*

2019.01.19

현역 석사 논문도 없고 석사졸업생들 이름 들어간 논문도 없다면
지도교수가 논문 쓰게해줄 능력은 있음에도 석사보다는 박사들을 몰아주는 성향이 있는것도 의심해보셔야 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