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연구실 모집중이에요!
대학원생
박사후연구원
학부생인턴
연구실 소개
2019년 3월 성균관대 생명과학과에서 시작한 "식물생화학연구실"은 식물 연구랩으로 식물이 어떻게 온도를 인지하고 반응하는 지를 연구하는 곳 입니다.
지도교수인 정재훈 교수는 2016년 Science 논문에서 광수용체의 일종인 phytochrome 단백질이 온도센서로 기능함을 보였고(식물 분야 최초로 온도센서가 보고됨), 2020년 Nature 논문에서 생체시계를 구성하는 단백질 중 하나인 ELF3가 상분리(phase separation)을 통해 온도센서로 기능함을 규명하였습니다.
2023년 3월 현재는 4명의 박사과정 및 석박통합과정 학생, 1명의 박사후연구원과 함께 식물의 온도 인지 기작의 신비를 밝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식물에 관심이 있고, 미래의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싶은 학생에게 성균관대 생명과학과 "식물생화학연구실"의 문은 언제나 열려있습니다.
주간조선 인터뷰 기사 (과학 연구의 최전선, 2021년 12월)
https://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002687100021&ctcd=C01&cpage=1
성균웹진 연구실 소개 (2022년 7월)
https://webzine.skku.edu/skkuzine/section/culture03.do?articleNo=98744&pager.offset=0&pagerLimit=10
한국연구재단 정책블로그 기초연구라이브 인터뷰 (2022년 9월)
https://blog.naver.com/basic_science/222862076577
2020년 Nature 논문과 관련된 링크:
[보도자료] https://www.skku.edu/skku/campus/skk_comm/news04.do?mode=view&articleNo=85159&article.offset=0&articleLimit=10
[연구가 소개된 칼럼]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39440연구분야 키워드
- #Ambient temperature
- #Arabidopsis
- #Cold stress
- #Flowering
- #Intrinsically disordered protein
- #Nuclear pore complex
- #Phase separation
- #Plant
- #Prion-like protein
- #Temperature sensing
졸업생 정보
현재까지 5명의 대학원생이 석사졸업했습니다.
2021년 2월 석사 졸업생의 경우 대학 연구소에 석사연구원으로 취직하였고, 2022년 2월, 2023년 2월 석사 졸업생은 박사과정으로 재입학하여 기존의 연구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2023년 2월 석사 졸업생 한 명은 카이스트 생명과학과의 박사과정으로 입학하였고, 같이 졸업한 학생은 현재 구직 진행 중에 있습니다.
5년 정도의 석박통합과정을 고려하면, 빨라야 2024년 2월이 되어야 첫 박사졸업이 있지 않을까 싶네요.연구실 지원 방법
2024학년도 1학기 대학원 신입생은 최대 2명 모집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에 관심이 있는 학생 및 연구원 분들은 jhjung19@skku.edu로 연락주세요.
기존에는 지도교수와의 면접만으로 신입생을 뽑았으나, 2024학년도 부터는 지도교수와의 면접 뿐만 아니라 대학원생들의 피드백을 참고하여 몇 년 간 연구를 같이할 학생을 찾고자 합니다. 그렇기에 인턴십 참여 여부가 아주 중요합니다.
대학원생 지원의 경우, 지원 동기 + 하고자 하는 연구를 묘사하는 자기소개서와 성적증명서를 메일에 첨부해 주실 것을 권합니다. 특별한 일이 없는 한 당일 바로 답장 드립니다. 추후 화상 혹은 대면으로 대학원 진학 상담 하실 수 있습니다.
여느 연구실이 그렇듯 석사 과정보다는 석박통합 진학을 원하는 학생을 우선적으로 받을 수 밖에 없다는 점 이해 바랍니다.
학부생 인턴쉽의 경우는 여름방학/겨울방학 기간에만 한정적으로 받고 있습니다. 매회 학부생 2-3명 정도가 인턴쉽 참여가 가능합니다. 인턴쉽 참여 학부생의 경우 대학원 입학이 좀 더 유리합니다. 인턴쉽 프로그램은 2개월 (대략 8주) 간 진행되며, 총 80만원 (40만원/월)의 연구격려금이 지원됩니다.
2023년 여름/겨울방학 인턴쉽은 총 2-3명의 학생을 받을 계획입니다. 2023년 여름학기 인턴쉽 학생 모집은 완료가 되었습니다. 겨울방학 인턴쉽에 관심있는 학부생들은 늦어도 9월 내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9월 내로 컨택을 할 경우, 연구실에서 참여하는 집단연구과제인 식물가소성연구센터(RCPP) 인턴십 프로그램 참여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후 지원자는 다른 경로로 연구격려금이 지원되니, 면담을 통해 확인바랍니다.자격 조건
교수와의 화상 혹은 대면 면접, 그리고 대학원생들과의 면접 결과를 종합하여 연구실 참여 여부가 결정됩니다.대우 조건
면담을 통해서 대우 조건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 물리학과] 나노광학연구실 대학원생 모집
94
- 2024년도 전기 성균관대학교 지구원격탐사연구실 대학원생 모집
995
-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건강과학과 시각 신경과학 연구실 대학원생 모집 (BK대학원생 지원 프로그램)
921
- 부산대학교 화학소재학과 태양광 수소 에너지 연구실 대학원생 모집 (박사/석박통합)
686
- [KENTECH/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에너지소재 연구실] 대학원생/학부인턴 모집
1362
-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역학(데이터사이언스분야) 대학원생 모집
694
- 부산대학교 NEURO & BIO Electronics 연구실 대학원생 모집
780
- [이차전지 분야 석/박 및 통합 과정(GIST/전남대 등 연계) 지원자 모집]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080
- [가톨릭의대] 스마트 생체재료 연구실 대학원생 및 포스닥 모집
951
- 국민대학교 바이오발효융합학과 바이오나노소재연구실 2024년 전기 신입생 모집 (등록금 100%, 생활비 지원)
1137
SCIE 논문 정보
누적 한줄평이 충분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