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랩 정보는 PI가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최근 업데이트 날짜: 2025년 7월 24일

오픈랩 정보 오류 신고하기

지금 연구실 모집중이에요!

대학원생 박사후연구원 학부생인턴

대학원생, 박사후연구원, 학부생인턴 모집여부를 등록하려면?

  • 연구실 소개

    한국화학연구원(KRICT)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팀은 차세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응용 분야에 필수적인 첨단 박막 소재 및 공정 개발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팀의 연구는 금속,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전구체의 설계 및 합성, 그리고 원자층 증착(ALD) 및 화학 기상 증착(CVD) 기술을 이용한 고품질 박막 제조를 포함합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IT 및 ET 융합 산업의 혁신을 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본 연구팀의 연구는 네 가지 주요 연구 분야를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1) 반도체용 무기 전구체: 본 연구팀의 핵심 연구 분야는 신규 유기 금속 화합물의 합성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그리고 연료 전지 및 배터리와 같은 에너지 소자의 촉매를 위한 ALD 및 CVD 공정에 응용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연구팀입니다.

    (2) 반도체용 유기 소재: 면적 선택적 원자층 증착(AS-ALD)을 위한 억제제 및 자기조립단분자층(SAM) 개발, 그리고 반도체 공정에서 포토리소그래피에 적합한 유기 포토레지스트 소재 개발이 포함됩니다.

    (3) 디스플레이용 무기 발광 소재: 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응용 분야를 위해 용액 공정이 가능한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입자 및 양자점을 합성하며, 특히 InGaP 기반 적색 양자점과 TiO₂ 기반 광촉매 소재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4)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박막 증착 공정: 개발된 (1)-(3) 소재를 활용하여 ALD/CVD 기반 증착 기술을 연구하고 이를 프로토타입 소자 제작에 적용합니다. AS-ALD와 같은 차세대 공정 개발도 포함됩니다.

    첨단 금속 전구체 시스템,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OLEDoS, 페로브스카이트, 하이브리드 복합 소재 등 다양한 기술을 산업계에 성공적으로 이전했습니다. 유기금속화학, 유기화학, 그리고 재료과학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저희 팀은 지난 5년간 8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 연구분야 키워드

    • #ALD
    • #AS-ALD
    • #EUV
    • #디스플레이
    • #반도체
    • #양자점
    • #유기금속화합물
    • #인히비터
    • #전구체
    • #페로브스카이트
  • 졸업생 정보

    Semiconductor/Display Materials Team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소재 전문 연구 집단으로 최근 5년간 SCI급 국제 학술지 논문 80여 편, 특허 출원 56건, 등록 35건의 주요 연구 성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기금속 전구체 합성 분야는 국내 학계에서 유일한 곳입니다.

    지난 10년간 유기금속소재 합성 개발과 박막 공정 분야의 전문 인력 50여 명을 배출하였으며, LG화학, SK키파운드리, 삼성SDI, 나노종합기술연구원, 디엔에프, OCI, 이엔에프테크놀로지, 동진쎄미캠, DL케미칼, 특허법인 공간 등 다양한 산업/학계에서 활동 중입니다.
  • 연구실 지원 방법

    상세한 상담은 분야별 하기 메일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1. 반도체 무기 소재 합성 (유기금속화합물 / Precursor) : 박보근 박사 (parkbk@krict.re.kr)
    2. 반도체 유기 소재 합성 (Inhibitor / EUV Photoreist) : 김영권 박사 (ykkim@krict.re.kr)
    3. 디스플레이 무기 발광 소재 합성 (Perovskite Quantum Dot) : 이선주 박사 (sjlee614@krict.re.kr)
    4. 반도체/디스플레이 증착 공정 개발 (ALD / CVD) : 이정훈 박사 (jh0330@krict.re.kr)
  • 자격 조건

    · 이학 학사 이상 학위 소지자 또는 취득 예정자 (화학)
    · 공학 학사 이상 학위 소지자 또는 취득 예정자 (신소재 / 화공)
  • 대우 조건

    ■ 지원내용(연구 관련)

    ·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연구 (합성 / 공정)
    · 반도체 외 에너지(태양전지, 연료전지 등) 분야 협업 가능
    · 반도체용 소재 합성/평가/분석을 위한 최신 장비 지원
    · SCIE급 국제 논문 작성을 위한 지도 및 게재 지원
    · 국내/외 학회 참석 및 발표 지원

    ■ 지원내용(학업 및 복지 관련)

    · 학연 및 UST 과정으로 대학원 진학 지원 (상세 사항은 상담 후 결정)
    ※ 학연과정 대상 대학 list (https://www.krict.re.kr/school/sub02_02.do)
    ※ UST (https://www.ust.ac.kr/prog/campus/campus/sub39_04/39/majorView.do?majorNo=26&kind=information)

    · 산/학/연 근무 경험 기반 졸업 후 진로 상담 및 지원
    · 석/박사 연차에 따른 월급 지급 (196~267만원 / 세전, UST기준)
    · 연 1회 이상의 인센티브 별도 지급
    · 4대보험 가입, 건강검진 및 기숙사 등 복지혜택 제공

연구실(PI) 홍보 게시판 최신 글

SCIE 논문 정보
김박사넷에 로그인하고 더 많은 기능을 이용해 보세요!
  • 1. 동일계열 연구실과 SCIE논문 정보를 비교할 수 있어요.
  • 2. 연구실에서 나온 논문목록을 찾아볼 수 있어요.
  • 3. 논문 기반으로 찾은 연구실 키워드를 열람할 수 있어요.
  • 4. 교수/연구원 즐겨찾기 기능으로 알람을 받을 수 있어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김박사넷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해보세요!

김영권 선임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박막재료연구센터

https://sites.google.com/view/krict-sdm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