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연구실은 반도체 공정 기반의 집적 광회로기반 나노광소자를 설계·제작·측정하여, 양자광학 소자의 근본적 한계를 돌파하는 연구를 종합적으로 수행합니다. 본인의 관심과 역량에 따라 설계(최적화 및 인공지능 기반), 제작(반도체 공정), 측정(정밀 전기·광학 계측) 중 하나 이상의 분야에서 주도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시스템을 처음부터 끝까지 만들어가는 경험은, 차세대 양자기술을 이끌 연구자로 성장하는 데 핵심이 될 것입니다. 우리는 미래의 양자 기술 및 집적 광소자 기술의 핵심을 글로벌 경쟁력 있게 함께 구현할 사람을 찾습니다.
2026년 3월 학연과정 입학 일정: [이메일 컨택 바랍니다 (주소: hyounghankwon@kist.re.kr)] 25년 8월 KIST 학연 과정 지원, 9-10월 학연과정 합격자에 한하여 추천서와 함께 협정대학 지원, 늦어도 25년 여름 컨택을 추천합니다. 또한, 이전의 경험을 위해 25년 7-26년2월 혹은 25년9월-26년2월 학점 인정형 학부 인턴십을 추천합니다.
목표: 반도체 공정을 활용한 최첨단 집적 양자 나노광학 소자 개발 응용: 양자 정보 과학은 물론, 빛을 활용한 다양한 과학·공학 분야 전반에 응용 가능 연구 구성 요소: - 공정: 반도체 공정 전반을 활용한 나노 광소자의 공정 - 측정: 양자 신호의 정밀 광학 측정, 광섬유 및 공간광 광학 셋업 구축 - 패키징: 양자소자 광 및 전기 패키징 셋업 구축 및 기술 개발 - 설계: 시뮬레이션, 최적화, 딥러닝을 통한 집적 나노광소자 설계
연구분야 키워드
#광학
#나노
#반도체
#양자
#집적소자
졸업생 정보
2022년 10월부터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근무를 시작하여 아직 졸업생이 없습니다. 본 연구실은 반도체 공정 (국내 최고 수준 나노공정), 광학, 프로그래밍을 활용하여 집적 양자 광소자 분야를 연구합니다. 해당 연구분야는 다음과 같은 국내 기업에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 반도체 공정 :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DB 하이텍 및 반도체 관련 기업들 - 광소자 설계 (최적화/인공지능) 및 광학 측정 : 삼성전자, LG이노텍, LG 전자, 삼성전기, KT, SKT 등
연구실 지원 방법
이메일 문의 바랍니다 (주소: hyounghankwon@kist.re.kr) - 이력서 1부와 기타 응시자가 능력 평가에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서류 - 졸업증명(예정)서 1부, 성적증명서 1부 ,영어성적 증명서 1부는 최종 합격시에 제출 바랍니다.
대학원생 지원시기: 주의사항: 학연 과정은 경우 빠른 컨택 및 지원이 필요함 - 3월 입학 학연과정: 전년도 8월 KIST 학연 과정 지원, 9-10월 학연과정 합격자에 한하여 추천서와 함께 협정대학 지원, 늦어도 6-7월 경 컨택을 추천 UST 양자정보 전공: 전년도 10월 지원, 양자 정보 분야 지원 , 7-9월경 컨택 추천 - 9월 입학 학연과정: 당해년도 2월 KIST 학연 과정 지원, 3-4월 학연과정 합격자에 한하여 추천서와 함께 협정대학 지원, 늦어도 12-1월 경 컨택을 추천 UST 양자정보 전공: 당해년도 4월 지원, 양자 정보 분야 지원 , 2-3월경 컨택 추천
학부연구생 : 한학기 + 방학 과정, 즉, 5-6개월의 학점 인정형 인턴을 학교를 통해 선발하는 것을 기본으로 함. 학교마다 상황이 다르므로 이메일을 통한 컨택을 추천함.
자격 조건
대학원생 입학을 위한 자격 조건 - 졸업 예정자 혹은 학사학위 소지자 - 영어성적 (TOEIC : 730점, TOEFL : iBT 79점, NEW TEPS : 277점, IELTS : 6점 이상 중 하나)
대우 조건
인건비: 박사/연봉 3000만원, 석사/연봉 2400만원 수준, 학위 과정 프로그램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음 개인 PC 및 모니터 제공, 국내 최고 수준의 반도체 소자 공정 경험. 첨단 연구 인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