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연구실은 아직 오픈랩 정보가
등록되지 않았습니다.
오픈랩이 등록된 연구실은 어떠신가요?
오늘의 오픈랩
오픈랩 더보기
한줄평
- [미국 Texas A&M 공대 - 박사학생모집] 개발에 초점을 맞추는 교육공학랩
1647
- 명지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환경분리막연구실 대학원생 모집
468
- [울산과학기술원(UNIST) 물리학과] 나노광학연구실 대학원생 모집
871
- 2024년도 전기 성균관대학교 지구원격탐사연구실 대학원생 모집
1271
-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건강과학과 시각 신경과학 연구실 대학원생 모집 (BK대학원생 지원 프로그램)
1155
- 부산대학교 화학소재학과 태양광 수소 에너지 연구실 대학원생 모집 (박사/석박통합)
843
- [KENTECH/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에너지소재 연구실] 대학원생/학부인턴 모집
1663
-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역학(데이터사이언스분야) 대학원생 모집
890
- 부산대학교 NEURO & BIO Electronics 연구실 대학원생 모집
988
- [이차전지 분야 석/박 및 통합 과정(GIST/전남대 등 연계) 지원자 모집]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388
SCIE 논문 정보
좋아요
교수님보다는 선배들이 후배들을 이끌어주면서 졸업하는 분위기. 그 덕에 대다수 연구실 사람들이 서로 잘 챙겨주고 매우 친한 화기애애한 분위기가 됨. 누군가에게 뭘 배우기보다 터치 없이 스스로 공부하는 걸 선호하는 사람들에게는 나쁘지 않은 랩
대부분 자율에 맡기시고 큰 방향성에 대해서만 지도해주심. 개념적인 사고, 설계 역량을 기르고 싶은 분들께 추천, 빨리 논문쓰고 실적 쌓아서 취업하겠다는 분들께는 비추. 아무에게나 맞는 랩은 아님.
대가 코스프레 하는 약장수. 연구 다 말아먹고 손놓은 지 오래고 골프나 치러 다니심. 학생들 쥐어짜서 버티는 중. 타랩은 물론이고 대전에서도 유명(?)하신 분.
대가의 시야를 지니신분, 한국에 이런 분이 있다는 것이 행운이라 생각함.
플젝 하느라 자기 연구는 제대로 하기 힙듭니다. 학생들의 논문을 제대로 이해 못 하셔서 논문 지도는 능력도 안 되고 별 관심도 없으십니다. 틀려도 우겨서 이겨야 되는 성격이십니다.
생물정보학 연구는 옛날에 접었는데 외부 사람이 물어보면 여전히 하는 것처럼 얘기합니다. 상습적입니다. 조심하세요.
다학제적으로 멀리 바라보는 시야가 탁월하십니다. 진정 하고 싶은 연구를 할 수 있습니다.
학생 30명 넘고 자대생이 기피. 8+년차, 중도 포기자 여럿. 교수가 평소 멀쩡해 보여도 뭔가 문제 생기면 책임 전가, 말 바꾸기 시전. 지원자가 문의 시 랩 속사정 숨기는 학생들 있음. 나도 속음. 선배들 중 교수 비율은 폭망 수준. 건투를 빔!
교수님을 자주 찾아가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교수님께서 바쁘셔도 연락드리면 전화나 따로 약속을 잡아서 신경을 써주십니다.
주요 회사나 학교 교수로 포지셔닝하고 있는 선배들이 많이 있어 졸업 후는 걱정할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논문을 쓰는게 힘든데 졸업하면 다들 알아주는 분위기입니다
교수님 짱!!
사람은 좋다
그가 할 수 있는 것과 그가 학생들에게 실제로 하는 것을 생각해보자. 천사다.
학생이 너무 많고 연구지도가 부실함. 인공지능이 뜨기 전엔 졸업에 10년씩 걸리고 인건비도 낮았음. 최근 연구비는 매우 풍족하나 회사까지 차려 연구지도는 더 부실해지고 여전히 기약없는 고년차 학생들 많음. 아웃풋 잘 나오는 타 랩으로 가는거 추천함
수업 듣고 너무 실망함
야누스 장.
교수님이 본인 강의 교재에 나오는 내용도 잘 모릅니다. Haykin 의 책 Neural networks and learning machines에서 수학적으로 약간만 복잡해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넘어가는 게 뻔히 보입니다.
분명 언사는 신사적입니다. 용두사미 프로젝트... 그리고 했던 말을 자주 까먹으세요. 더 이상은 읍읍
장단이 명확하게 있는 랩. 학생들을 인격적으로 대해주시며 초임교수들이 가질 수 없는 대가의 통찰력이 있으심. 다만, 디테일한 연구지도는 크게 부족하여 학생들이 연구적으로 방황하는 경우가 부지기수.
5년 이상 이전 졸업생. 졸업은 알아서. 인건비 박함. 알바과외로 많은시간 보냄. 연구방향 논문은 알아서. 하지만 졸업은 원하는 주제로 방향 잡아 논문써야 가능. 그래서 10년차 이상도 존재. -_-;; 요즘은 좀씩 정상 회귀중. 자기일만하는 얌채有!
인격은 최고라 ... ? 음 ... 언사는 분명 신사적이다. 그러나, 당장 겉으로 드러나는 것만 보고 믿으면 안 됨. 전두환 같지는 않지만, 김기춘 같은 스타일. 여기까지 ...
...
학교에는 거의 안계심.
종합적으로는 다른 연구실에 비하면 나은 편일 수도 있으나 연구 지도에 있어서는 크게 부족하다. 특히 학자가 아닌 사업가의 길을 택하여 학생들이 연구를 못하고 일을 할 수밖에 없다. 통찰력은 있지만, 추진력이 부족하여 일이 완성되기 힘들다.
인격적으로는 최고이신데 너무 일이 많으시고 졸업은 스스로 해야한다는... 서울대는 아마 거의 대부분 졸업은 알아서 하는 분위기라 특별한 점인지는 모르겠음. 시대를 앞서 가시는 분
다학제는 좋은데 너무 많은 분야에 걸쳐 있어서 산만하고 연구성과가 그리 좋지 않음
방목하는 연구실. 방목이라는 말은 중의적 표현입니다. 박사 진입생들이 많았을 때는 자유로운 연구가 가능했지만, 주기가 좀 있어요. 과제 많음.
하고싶은 연구 할 수 있는 분위기
박사 졸업에 필요한 연수는 정상 수준으로 줄어들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 실적은 탑급입니다. 핫한 인공지능 분야에서도 코어를 다룬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인격적이며 대가의 시야를 지닌 분이죠.
사람은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