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 데이터 분석이나 전문가 시스템 같은 것을 할 경우에 어떤 분은 CS쪽으로 가기도 하지만 어떤 분은 경영대의 MIS쪽으로 가더군요. 그러면 같은 학교라도 연봉차가 3-5만불씩 나기도 하고 연구 학교의 CS교수보다 티칭 학교의 MIS 교수가 연봉을 더 많이 받을 수도 있습니다. 혹은 HCI쪽에서 디자인쪽을 하면 아트 학과로 갈 수도 있지만 CS 학과로 임용 될 수도 있죠. 여기도 마찬가지 티칭 학교의 CS 교수가 연구 학교의 아트 교수보다 연봉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이런 상황이라면 그리고 연구든 티칭이든 별로 개의치 않는다면 돈 많이 주는 쪽으로 가실건가요? 아니면 돈은 적어도 상대적으로 명성/명예가 더 있는 연구 학교로 가실건가요? 연구 학교가 테뉴어 받기는 더 힘들 수 있어도 테뉴어 받고 풀프로페서 정도 되면 그냥 손 놓고 노는 교수도 많아서 노년에는 연구 학교가 계속 수업을 해야 하는 티칭 학교보다 더 편할 수도 있고..
주변에서 비슷한 연구를 했던 두 분이 (같은 학교 출신) 한 분은 연구 대학 CS 학과로 다른 한분은 티칭 학교 MIS 학과로 갔는데 물가는 얼추 비슷한데 티칭 학교 간 분이 돈을 좀 더 받습니다. 물론 티칭도 좀 더 하기는 합니다만 스트레스는 연구 학교가 더 많이 받을 것 같기도 하고..
그래도 '어디 교수다'라고 할 때는 연구 학교에 있는 분이 좀 더 나아보이기는 하네요. 아무래도 그런 명성도 무시 못 하는거라.. 저도 이제 곧 비슷한 상황에 직면할텐데 제가 재밌어 하는 학과는 연구 학교의 부교수가 티칭 학교의 조교수보다 연봉이 적거나 비슷하네요. 그렇다고 일을 적게 하지는 않을테고...
한국이면 학과 별 연봉 차등이 없으니 상관이 없겠지만 미국은 차이가 많이 나서 고민이네요..
연봉이냐, 실적 압박이냐, 학교 명성과 교수로서의 명예냐...
댓글 5
나른한 존 롤스
2022.01.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본인 가치관 문제인 것 같음
살아온 철학대로 움직이면 됨
대댓글 2개
상처받은 피타고라스 (탈퇴한 회원입니다)
2022.01.20
어려운 문제네요.
일과 스트레스는 적은게 좋고 돈과 명에는 많은게 좋은데...
무기력한 마이클 패러데이 (탈퇴한 회원입니다)
2022.01.20
ㄴ 한국 교수면 가능할지도?
밝은 칼 세이건
2022.01.20
국내 리턴? ㅋㅋㅋㅋ
대댓글 1개
무기력한 마이클 패러데이 (탈퇴한 회원입니다)
2022.01.20
ㄴ 하브에서도 이제 국내 지방대도 한숨 돌린 상황이라 앞으로 20년은 괜찮다고 하던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