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lse"
취한 존 스튜어트 밀
댓글쓰기
연구자로서 우여곡절 우울증/불안장애 경험담
대한민국 학계는 이게 문제임
미국 박사 퀄 통과 했습니다ㅠ
학회가서 우연히 포닥인터뷰까지 보고 온 후기
대학원이라는 지옥을 탈출해 멀리서 지켜보며 쓰는 글
학계를 떠나며
김박사넷에서 계속해서 보이는 우문우답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지도 교수는 반드시 인성이 바른 사람을 만나야 합니다.
김박사넷 로그인을 하면
더 많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10,000명의 김박사넷 유저들과 함께해보세요!
신고하기
신고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추후 김박사넷 게시판 서비스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IF뱃지가 일정 개수 이상일 경우
닉네임 수정이 가능합니다.
회원 프로필 완성 후 글쓰기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프로필 완성하기
댓글 8
청승맞은 제임스 맥스웰
2021.11.10
혹시 국내 박사를 마치고 해외 취업을 하려고 할때 팁이나 조언 있으실까요?
대댓글 2개
취한 존 스튜어트 밀 (탈퇴한 회원입니다)
2021.11.10
해외 취업이 회사 취업을 의미하시는거죠? 한국 학생들 멘토링 할 때에도 가장 많이 나오는 질문입니다. 미국은 비자 문제 때문에 특히 까다롭지만 다른 아시아 국가들 싱가폴, 홍콩 (중국이지만), 일본등은 상대적으로 수월합니다. 가장 쉬운 방법은 글로벌 기업의 한국 지사를 들어 가서 해외 지사로 나가는 방법입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실리콘밸리의 엔지니어분들중 대여섯명이 그런식으로 미국으로 왔습니다. 그분들께 물어봐도 미국 취업은 그게 제일 쉽고 그 다음이 대학원으로 왔다가 취업하는 건데 박사를 마치신 후라 말씀하시니 이 방법은 아닌 것 같고요.
청승맞은 제임스 맥스웰
2021.11.10
생각하지 못한 방법인데 감사합니다 !
자상한 헤르만 헤세
2021.11.13
감사합니다ㅠㅠㅠ!!!
대댓글 1개
취한 존 스튜어트 밀 (탈퇴한 회원입니다)
2021.11.14
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만만한 에르빈 슈뢰딩거
2021.11.18
해외 취업 관련된 질문인데요. 혹시 해외 기업에서 인턴쉽이나 포닥을 뽑으면 거기에 지원해서 정규직으로 넘어가는게 처음부터 연구직으로 지원하는거보다 더 좋을까요? 우리나라랑 좀 다르게 접근을 해야하나 싶어서 고민중입니다!
대댓글 2개
취한 존 스튜어트 밀 (탈퇴한 회원입니다)
2021.11.19
해외취업이면 일단 비자가 어떻게 해결 되는지 아는게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포닥으로 갔다가 정규직으로 넘어가는 케이스는 많습니다.
만만한 에르빈 슈뢰딩거
2021.11.19
감사합니다! 비자 관련해서도 꼭 문의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