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조현병환자는 타인에게 해를 끼칠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묻지마 살인사건 중 많은 사례가 조현병환자의 망상에서 시작되곤 합니다.
아즈매와 마음 건강
16
- 혹여나 마음 따뜻한 친구들이 공격적인 댓글에 대해 나를 대신해 변론해주느라 애쓸까봐 하는 말이지만 마음만 고맙게 받겠다. 세상에는 소수지만 자신의 언사에 받을 타인의 상처에 무감각하거나 즐기는 이도 있는것 같다. 우리가 반대 댓글로서 그들의 공감능력을 일깨워줄수는 없다. 안타깝지만 그의 인생 아니겠는가.
아즈매와 마음 건강
24
- 세상에 소름 끼치네.
이런 사람이랑 깉은 랩 쓸까 겁난다.
상태도 졸라 심각한거 같은데 그 예전 누구처럼 랩에 불지를지 누가 암?
전문직이라는 것도 망상 아님?
아니 예초부터 대학원은감?
아즈매와 마음 건강
23
- 오우 망상증환자가 쓴 글인줄 알았음 응원도 안 눌렀지.
다른 글은 이 글에 비해 점수도 안 올라 감. 다들 속은걸 아는거지.
서른 중반 석사 졸업 미혼 아즈매의 대학원 단상
16
- 일반적인 경우라면 말씀하신대로 학부생 글쓰기는 교수 첨삭 단계에서 95%가 바뀌는게 정상이고, 그래서 학부생이 SCI 1저자를 가저가는 일이 잘 없습니다. 몇년 간의 phd grind, 그 이후 몇 년간의 faculty grind를 따라잡기는 쉽지 않지요. 그래서 보통 학부생이 개발과 실험을 했더라도, 그 내용을 지시했던 석/박사과정 학생들이 1저자 역할을 하곤 합니다. academic reporting에 조금 더 훈련되어 있기도 하고, 결국 저자는 내용을 이해하고 그 내용을 글로 쓰는 사람이기 때문이죠.
그러나 글쓴이께서는 교수님과 둘이 연구를 하신 것 같네요. 교수님 입장에서는 1저자나 교신저자나 똑같은 main author이기에 개발과 실험에 수고한 학부생에게 1저자 role을 주시는 것 같습니다. 좋은 기회를 찾는 것, 그 기회를 잘 잡는 것, 지도 교수로 하여금 하나라도 더 챙겨주고 싶게 만드는 것, 모두 본인 실력입니다. 지도 교수님께 감사한 마음과 겸손한 태도를 가지시되, 그 자세를 바탕으로 다음 연구에서는 더 많은 역할을 하시길 바랍니다.
학부연구생 sci 논문 이게 맞나요
19
One of them 그리고 One of a kind
2021.07.16
10
27098

나는 여기서 말하는 탑5 스쿨 중 거장 그룹의 포닥임.
주변 동료들 학부를 보면 탑스쿨부터 한국으로 치면 지사립 정도 되는 처음 듣는 대학출신들까지 많은 스펙트럼을 지니고 있음. 그런데 모두에게 공통점이 하나 있음. 스스로를 출신 학교로 설명할 필요가 없다는 것. 얘기하다보면 같은 분야 사람들끼리는 모두가 아는 대표 논문 한 두편 쯤 대다수가 들고 있음. 아 그 논문 쓴게 너야? 이러면서 서로 얘기하는 경우도 많은데 출신이 어디든 본인이 출신 학교가 아니라 one of a kind 로서 스스로의 실력으로 본인 설명이 가능함. 대다수가 이미 어지간한 대학의 교수임용이 가능한 실적을 가지고 있고 본인만의 연구철학도 가지고 있음.
김박사넷에 보면 스스로를 어느 그룹의 울타리에 두고 One of them으로서 자기자신을 평가하는 글을 많이 보는데, 너무 자만하거나 낙담해서 스스로를 제한하지 말길 바람. 듣도 보도 못한 대학 출신이 Nature/Science를 뽑아내는 걸 자주 보는 것처럼 탑스쿨 학부 출신이 적응못해서 간신히 졸업하거나, 자퇴하는 것도 자주 봄. 박사는 출신보단 실력으로 평가받고, 출신학교의 One of them보단 스스로 One of a kind 인 사람이 훨씬 빛이 남. 같이 몇 마디 해보면 충분히 드러나는 부분임.
그룹을 나누어서 싸우지 말라는 소리는 아님. 하고 싶었던 말은 세계 최정상 랩에 와서 보니 생각보다 어느 길을 가더라도 one of a kind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은 존재한다는 것임. 그렇게 멀어 보였던 길이 지금와서보니 종이 한 장 차이인 걸 알게 되었고, 악조건 속에서도 그 길을 찾아낸 사람들이 생각보다는 많다는 것. 김박사넷에서 나오는 말로 자만, 낙담, 혹은 분노하며 자신을 제한하지말고 주어진 상황하에서 최선을 다하길 바람. 최선을 다한다고 항상 최선의 선택이 되는건 아니지만 뭘하든 여기의 one of them 들과 싸우는 것보단 날테니.
김박사넷 추천 PICK! 김박사넷AI가 추천하는 게시글도 읽어보세요!
BEST
학계 뜹니다.44
14
7234
BEST
연세대는 충분히 좋은 대학인데29
4
4393
BEST
해외 포닥과 결혼10
32
7127
BEST
연세대 포항공대49
37
8007
BEST
학계를 떠나며97
20
44324
BEST
연훌들 진짜37
22
2723
-
28
24
14692
-
102
28
20897
명예의전당
나는 포항살이 대만족86
65
31316
-
73
60
88167
-
98
67
63020
고전인기
교수님 눈밖에 났다던 학생입니다96
18
61627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김박사넷에서 드리는 유학준비 스타터팩 신청하기
533
kairi kaist ai 인턴 최종 결과
15
- 한양대 대학원도 서울캠 에리카 캠퍼스 다르게 생각하나요??
14
- 카이스트 반수 서울대
20
- S대 AI대학원 컨택됐는데 카이스트에도 지원하려고 합니다.
16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1.07.16
대댓글 1개
2021.07.16
2021.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