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부러우면 자기도 거기가서 서울대 교수 되지 뭐하러 김박사넷에 똥글싸고 계신지
지잡공대 출신으로 서울대의대 교수가 될 수 있나?
33
- 그런 잣대로 그 사람의 노력을 모욕하면 좋나요? 저 정도 정보면 누군가 특정까지도 가능할 거 같은데 박사까지 학부 이후에 수식이나 여러 스킬은 배양이 가능합니다. 저 분은 박사학위(심사 교수들의 인증)나 교수 임용(학과 동료 교수들과 총장의 인정)으로 충분히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학부생들 입학하면서 대부분 교수 출신이나 논문 등 잘 안보고요. 대학원 관심 생길 때나 겨우 찾아봅니다. 님같은 사람이 사회 좀먹는 사람입니다. 남 신경끄고 본인이나 신경쓰세요.
지잡공대 출신으로 서울대의대 교수가 될 수 있나?
52
- 저 교수님들 존경스럽다..... 얼마나 부던히 노력해서 저기까지 가셨을까
지잡공대 출신으로 서울대의대 교수가 될 수 있나?
27
- 그 지도교수도 잘못했지만, 고소한 것을 자랑하는 것도 불가피한 것은 이해하지만 좋게 보이지 않고, 그것을 칭찬하는 사람들은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대학원 생활을 하는 것인지...ㅉㅉㅉ
결국엔 지도교수 고소했다.
24
- 이색기교수네
결국엔 지도교수 고소했다.
18
한국 인기랩 vs 미국 top5 랩 체감 비교
2021.07.08
34
71091

다이렉트로 미국 top 5 대가랩으로 유학온 사람임.
일단 연구 환경 몇가지 비교해드림.
[1] 연구 실적
우리 분야에서 한국에서는 제일 잘나가는 랩도 NS 본지를 매년 쓰는 랩을 본적이 없는데 (아주 잘해야 2,3년에 1편쓰는 정도)? 여기는 체감상 존재하는 랩 중에 절반 이상이 매년 NS 본지에 논문을 냄. 그중에서도 제일 잘하는 랩은 더 많이 내고. 전체 논문 개수는 한국이나 여기나 은근 별 차이 없음. 근데 실적에서 차이나는 건 펀딩 규모를 보면 당연한 거라 생략하겠음.
[2] 학생 수준
일단 대학원생이 외국인 절반, 미국인 절반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입학 전에 SCI 논문 1저자로 쓰고 온 사람이 60% 이상은 되는 듯함. 특히 외국인 (외국 학부 출신) 이면 거의 80% 이상에 가까움. 그래서 교수가 학생을 뽑을 때 그 학생의 전문 연구 분야를 보고 랩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를 계산해서 뽑음. 물론 학부/석사때 한 분야랑 많이 다른 연구를 하는 랩에 입학하는 사람도 적지는 않음. 학생들이 입학할 때부터 어느 한 분야를 줄줄이 꿰고 있는 경우가 많다보니.. self-motivation 측면에서 한국보다 우위에 있는 듯함. 지식이나 학업 수준은 한국 학생들과 비교하여 생각보다 큰 차이가 나진 않음.
[3] 수업
한국에서 학부할 때, 대학원 수업을 꽤 많이 들어봐서 직접 비교가 가능한데, 일단 수업 난이도나 배우는 내용은 별 차이가 없음. 다만 미국은 한과목을 30년 이상 강의한 고인물 교수들이 직접 교과서 써서 그걸로 가르치는 수업도 있는데, 그런 수업은 내공이 엄청나다고 들음. 과제는 매우 어렵거나 시간을 많이 들여야 되는 경우가 많음. 한국처럼 솔루션 베껴서 제출하는 형태가 아니고, 꽤 많은 시간을 고민해야 되는 과제가 주어짐. 필요하면 코딩도 많이 해야함. 교수와 TA들이 수업에 적극적이기 때문에 이메일이나 강의 플랫폼 (piazza, slack 등등)에 질문을 올리면 거의 24시간안에 답변이 올라옴.
[4] 포닥 수준
내 생각에 한국 랩과 미국 랩의 가장 큰 차이가 질좋은 포닥의 유뮤인 것 같은데, 축구로 따지면 허리라인 (미드필더)에 해당함. 탑스쿨 교수들은 무척이나 바쁘기 때문에 포닥을 대학원생만큼이나 고용하여 프로젝트의 리딩을 맡김. 포닥들은 전세계에서 고르게 오는데, 한명 한명이 이미 교수여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 스펙이며, 초급 대학원생들은 포닥과 주로 소통하며 일을 하게 됨. 그리고 [1]에서 언급한 NS 본지에 해당하는 연구 실적은 대부분 포닥들로 부터 나옴 (최근엔 포닥 1명과 원생 1명이 공동1저자로 쓰는 경우가 많이 보임).
[5] 연구 수준
일반적으로 한국랩들보다 주제가 많이 확장되어 있음. 혼자 북치고 장구치고 다하려는 교수님들이 많고, 같은 랩인데 학생마다 하는 분야가 다 다른 랩도 있음. 학생들이 열정이 없으면 망하기 십상인데, 다행히 학생들이 어떻게든 해오니까 유지가 되는듯. 지도교수가 미국/유럽 전역의 연구 중심대학, 내셔널랩 PI들과 고루 친해서 코워커를 구하기가 굉장히 쉬우며, 거의 치트키 수준이라는 생각이 들 때도 있음.
[6] 졸업 후 진로
취업할 사람은 bay area나 그에 준하는 대도시 대기업에 진출하고, 교수하고 싶은 사람은 현재 랩과 동등한 명성이 있는 비슷한 분야의 랩으로 많이감. 박사 때 실적이 화려하지 않아도 포닥까지는 잘 보내는 느낌임. 박사를 동부에서 했으면 포닥을 서부, 박사를 서부에서 했으면 포닥을 동부로 가려는 경향이 있음.
[7] 그외 차이점
학생들이 생각보다 논문에 목을 메지 않고, 다양하고 자유롭게 진로를 모색하는 느낌임. 수업을 많이 듣는 사람도 있고, 학생회 활동을 열심히 하는 사람도 있고, 여름방학때마다 회사가서 인턴하는 원생도 있음. 물론 유학온 동양인들은 대체적으로 워라밸 무시하고 연구에만 올인함. 아, 참고로 지도교수나 과를 바꾸는 것이 쉬움. 1년 다녀보고 마음에 안들면 다른 랩으로 바꿔도 됨. 랩 로테이션이 의무적으로 요구되는 학과도 있음. 공동 지도교수 (2명의 지도교수)를 가진 학생도 많음.
김박사넷 추천 PICK! 김박사넷AI가 추천하는 게시글도 읽어보세요!
명예의전당
인과관계 영어표현 정리168
20
29594
명예의전당
미국 탑스쿨 유학 가능할까요
3
11
875
명예의전당
인턴을 여러 군데에서 해봐도 될까요?
11
3
1191
명예의전당
미국 박사 퀄 통과 했습니다ㅠ
117
29
18008
명예의전당
나는 포항살이 대만족77
62
26255
명예의전당
우리 지도교수님..92
28
29656
고전인기
대학생/대학원생 세금 관련 팁70
3
48989
고전인기
대학원 웬만하면 오지마라 (장문)128
53
152052
고전인기
지방대 교수의 단상141
49
72600
-
87
61
52308
-
148
78
58541
고전인기
연구자로 살길 잘했다.245
58
47007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건대 공대가 어느 정도 위치인가요?
6
50
- 교수 학부 학벌
0
26
- 과기원이나 포스텍, 켐텍 등으로 진학한 지방국립대나 지방사립 출신들 있으신가요?
20
23
- 꼭 봐주세요)다른 랩실도 이런지요? 실험실 군기 관련.
6
25
대학원도 아이비리그면 전공랭킹과 상관없는 prestige가 있나요?
0
36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1.07.08
2021.07.08
2021.07.08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