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cel Duchamp
심심해서 실리콘 밸리 AI/ML research scientist 취업관련 질문…
좋은 연구실을 고르는 방법 (박사 졸업생이 생각하는)
연구실 컨택할때 꼭 알아두면 좋을 것들
좋았던 교수님이 변하셨다
학부 졸업하고 입학하는 새내기에게 주는 팁 아닌 팁
SPK와 비SPK의 차이가 어느 정도냐는 질문이 많아서 한마디...
좋은 연구자의 태도란??
외부에서 괜찮은 랩을 알아보는 방법 (장문주의)
김박사넷 로그인을 하면
더 많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10,000명의 김박사넷 유저들과 함께해보세요!
신고하기
신고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추후 김박사넷 게시판 서비스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IF뱃지가 일정 개수 이상일 경우
닉네임 수정이 가능합니다.
회원 프로필 완성 후 글쓰기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프로필 완성하기
댓글 13
Stéphane Mallarmé (탈퇴한 회원입니다)
2021.01.18
개판인 랩을 많이봤지만, 석사졸 4년이 대부분인 랩은 첨보노 ㅋㅋㅋㅋㅋㅋㅋ
대댓글 0개
Karl Ernst von Baer
2021.01.18
둘다 ㅋㅋ
개판인 학생을 받아야 하는 연구실 상황을 생각하면 연구실도 개판인거고.
개판인 연구실이라도 진학해야하는 학생 상황을 생각하면 학생도 뭐 같은 상황인거죠
대댓글 0개
Pierre Boulez (탈퇴한 회원입니다)
2021.01.18
교수가 미친거같은데 석사따리한테 웬 연구실적을 요구하냐
대댓글 0개
Fritz London
2021.01.18
둘다 개판 ㅋㅋ 적당한 주제 잡고 연구실적 내고 나가야지 ㅋㅋ 교수도 무책임 학생도 무능력 ㅋㅋ
대댓글 0개
Karl Ernst von Baer
2021.01.18
연구실적이 있어야 졸업을 하죠. 논문은 써야 졸업을 하니
대댓글 0개
Alan Turing
2021.01.18
거기 간 학생이 잘못
대댓글 0개
Eratosthenes
2021.01.18
학생과 교수 잘못이 반밬
대댓글 0개
Maurice Maeterlinck
2021.01.18
양쪽 책임이 있지만, 석사졸업정도면 특히 학생의 문제가 클 가능성이 높습니다. 제가 예전에 학부연구생할때 있던 랩에서 석사 3-4년 하는사람 있었는데, 그냥 연구에 관심없는 사람이였습니다.
마찬가지로 교수님은 방치형이였고요. 그렇다해도 그 사람빼고는 다들 석사는 4학기만에 졸업했습니다..
대댓글 0개
Zeno
2021.01.18
학교 졸업요건이 빡센경우도있음..
대댓글 0개
Maurice Maeterlinck
2021.01.18
ㄴ 아무리빡세도 4년은 개오바에요.. 이공계에서 석사졸업이 빡세봤자 얼마나 빡셀까 싶기는한데, 제가 학부/대학원으로 경험해본 Y/K 둘다 석사를 제때 졸업못한케이스는 학생본인 잘못이 더 커요. 물론 저희연구실은 아니지만 주변에서 교수욕심때문에 한학기 딜레이되는 경우는 간혹 보이긴했습니다. 근데 1-2년 딜레이는,, 본인 졸업 의지가 없는수준,,
대댓글 0개
Gertrude Stein
2021.01.18
석박통합 지원했다가 석사로 전환하고 복수 당하는 상황일수도 있고 파트타임이라서 코스웍 끝나고 논문 천천히 쓰는 경우일수도 있고.. 풀타임이면 학생과 교수 반반 문제인 거고 대부분이 그런 상황이면 그 방에서 진행하는 연구 자체가 논문 나오기 오래 걸리는 주제일수도 있고..
대댓글 0개
George Gamow
2021.01.18
둘 다 잘못입니다.
대댓글 0개
Owen Willans Richardson
2021.01.20
파트타임일 가능성이 높음.
대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