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tavio Paz
심심해서 실리콘 밸리 AI/ML research scientist 취업관련 질문…
좋은 연구실을 고르는 방법 (박사 졸업생이 생각하는)
연구실 컨택할때 꼭 알아두면 좋을 것들
좋았던 교수님이 변하셨다
학부 졸업하고 입학하는 새내기에게 주는 팁 아닌 팁
SPK와 비SPK의 차이가 어느 정도냐는 질문이 많아서 한마디...
좋은 연구자의 태도란??
외부에서 괜찮은 랩을 알아보는 방법 (장문주의)
김박사넷 로그인을 하면
더 많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10,000명의 김박사넷 유저들과 함께해보세요!
신고하기
신고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추후 김박사넷 게시판 서비스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IF뱃지가 일정 개수 이상일 경우
닉네임 수정이 가능합니다.
회원 프로필 완성 후 글쓰기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프로필 완성하기
댓글 6
Gregor Mendel
2021.01.17
박사학위 이후의 근속년수로 호봉을 계산해서 그에 따라 직급을 준거죠. 포닥, 회사, 정출연, 타학교 교원경력 전부 다 인정받고 들어가요 (경력산정 과정에서 페널티는 있는경우가 많음)
대댓글 0개
Friedrich Bergius
2021.01.17
카이스트도 산업에서 종사하다 오신분들 계십니다.
다만, 경험상 대부분 산업종사하고 오신분들의 연구지도 평이 좋지 않았습니다.
좁고 넓게 알아서 큰 도움이 안된다.. 라는 평들??
대댓글 0개
Eduardo Galeano
2021.01.17
그런 케이스가 전임교원도 있는데, 겸임교원들도 많음. 과기부에서 학교 운영비 받으려고 뽑은 사람들
대댓글 0개
E. H. Carr
2021.01.18
그거는 학교보다는 분야에 더 의존적일듯요. 한번 인더스트리로 빠지면 돌아가기 힘든 분야도 많아요.
대댓글 0개
E. P. Thompson
2021.01.18
@Friedrich 좁고 넓게아는건 어떻게 알아야함???
대댓글 0개
Manne Siegbahn (탈퇴한 회원입니다)
2021.01.19
ㄴ 얉고 넓게 안다는 소리 아님? 여기저기 발만 걸치고있다?
대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