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그런 잣대로 그 사람의 노력을 모욕하면 좋나요? 저 정도 정보면 누군가 특정까지도 가능할 거 같은데 박사까지 학부 이후에 수식이나 여러 스킬은 배양이 가능합니다. 저 분은 박사학위(심사 교수들의 인증)나 교수 임용(학과 동료 교수들과 총장의 인정)으로 충분히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학부생들 입학하면서 대부분 교수 출신이나 논문 등 잘 안보고요. 대학원 관심 생길 때나 겨우 찾아봅니다. 님같은 사람이 사회 좀먹는 사람입니다. 남 신경끄고 본인이나 신경쓰세요.
지잡공대 출신으로 서울대의대 교수가 될 수 있나?
51
- 저 교수님들 존경스럽다..... 얼마나 부던히 노력해서 저기까지 가셨을까
지잡공대 출신으로 서울대의대 교수가 될 수 있나?
26
- 그 지도교수도 잘못했지만, 고소한 것을 자랑하는 것도 불가피한 것은 이해하지만 좋게 보이지 않고, 그것을 칭찬하는 사람들은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대학원 생활을 하는 것인지...ㅉㅉㅉ
결국엔 지도교수 고소했다.
24
- 이색기교수네
결국엔 지도교수 고소했다.
18
- 비슷한 입장에 처해본 사람으로써 조언드리자면 답은 정해져 있습니다. 개인연구 깔짝거리는 시간 전부 없애고 1개월 정도 과제만 죽어라 파서 성과내고 교수한테 던져주는거요. 그리고 논문은 다른 학생이랑 쓰시던 말던 알아서 하라고 선포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논문까진 안쓰더라도 월급받고 다니는 마당에 과제실적은 내야 어쨌든 밥값은 하는거 아니겠습니까.
작성자님이 과제연구 하기 싫은거 진짜 십분 이해합니다. 그러나 계속 회피하는건 말이 안되는겁니다. 재미있는걸 열심히 하게 되는건 당연한 거구요, 의식적으로 열심히 하려고 노력을 들여야 하는건 재미없는 일들입니다. 자꾸 재밌고 잘 되는일 위주로 시간을 쓰려는 충동을 억제하고 일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영리하게 시간배분을 해야합니다.
마지막으로, 연구능력이 아예 정체되서 최신이론이나 기술을 전혀 구현도 못하고 심지어는 팔로우조차도 안하고 있는 교수들이 대한민국에 태반입니다. 말이 연구자이지 그냥 학교에서 강의하면서 과제제안서만 쓰는 사무직 노동자로 전락하여 그 삶에 안주하고 연구관련 해서는 사이비같은 말만 번지르르하게 아는척 하는 교수들 엄청나게 많습니다. 이런 현실을 받아들이시고 지도는 기대하지 마시고 본인 앞길은 알아서 개척해야 합니다.
지금 누구 탓을 하고 원망하고 있을 시간이 없습니다. 좌절하며 자기연민에 빠져있을 시간도 없습니다. 현명하고 효율적으로 과제실적 채우고 그것을 방패막 삼아 무능한 교수의 방해로부터 벗어나 개인연구에 대한 자율성을 주장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교수님이 배정한 과제와 내가 하고 싶은 연구, 박사과정 넋두리
15
석사'만' 한다는 것
2021.01.06
21
58089

사실 학교다닐때는 별 생각없이 졸업만 보고 달려와서 사회생활이나 직장내에서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해서는 많이 생각을 안해봤었습니다. 직장에 들어가서 실제로 겪고 들었던 생각들을 위주로 말씀을 드려보려고 합니다.
전공은 기계공학입니다.
개인적으로 석사는 박사를 위해 거쳐가는 관문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ssh학부 졸업하고 spk석사졸 후 3년 현업(일반 대기업)에서 근무하다가 다시 박사과정을 올해부터 밟는데요.
제가 근무한 곳을 기준으로 결과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참고로 R&D직군에도 학사가 꽤 많고, 학사들과 석사사이에 업무의 차이는 '있을 수도 있고, 없을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이런 세부적인 업무는 '제가 고를 수 없었습니다'. 이건 지원자격이 '석사 이상'이어도 마찬가지입니다.
저는 학사들과 석사의 업무차이가 없는 팀에서 일을 했었고, 석사를 근무기간으로 인정해 입사시에 연차만 달랐습니다. 학사졸업자들 2년지나면 하는 업무는 저희와 같은업무였고 차이는 없었습니다. 가장 힘든게 상대적인 박탈감과 '이럴거면 석사 왜했지?'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당시에는 너무나도 지쳐서 다른 도전을 해 볼 생각은 못했기 때문에 정착하게 되었던 것 같습니다.
석사와 박사가 섞여있는 부서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석사졸과 박사졸의 업무에 차이가 있었습니다' 당연히 연차가 쌓이면 경쟁에서 불리할 수 밖에 없습니다. 사실 이런 상황을 알고는 저는 만약에 회사를 오래 다녀야 한다면 제가 배치된 부서에 있는게 오히려 다행인가 하는 생각도 했습니다.
결론적으로 말씀을 드리자면 석사졸이 '적어도 제가 재직하던 곳'에서는 애매한 포지션이었다는 겁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꼭 이런 이유로 박사를 하기로 결심한건 아니지만, 제가 생각지 못했던 요소였기에 밤에 잠도 잘 오지않아 글을 썼네요 ㅎㅎ...
두서가 없는 것 같습니다.
제 경험은 타전공과는 다를 수 있고, 제 개인적인 경험이라 보편적으로 적용되는건 아닙니다. 주변에 보면 같은 사례들도, 아닌 사례들도 많더라구요.
물론 김박사넷에 계신분들은 모두 다 잘 가시겠지만 '아, 이런 사례도 있구나'정도로 알아주시라고 글을 쓰는 겁니다.
졸업하기 전에 누구도 알려주지 않았기에 아쉬웠던 이야기라서 한번 글을 써 봤습니다.
김박사넷 추천 PICK! 김박사넷AI가 추천하는 게시글도 읽어보세요!
-
34
14
6288
BEST
연구실 한숨빌런21
11
3094
-
15
25
10698
-
46
28
5815
-
3
19
1994
-
23
69
8760
명예의전당
대한민국 학계는 이게 문제임166
34
58980
명예의전당
나는 포항살이 대만족77
62
26252
명예의전당
저 미국 교수입니다149
73
39203
고전인기
교수님 눈밖에 났다던 학생입니다78
17
46023
-
113
10
22491
고전인기
인력난에 허덕이는 교수님들께170
54
52957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건대 공대가 어느 정도 위치인가요?
6
50
- 교수 학부 학벌
0
26
- 과기원이나 포스텍, 켐텍 등으로 진학한 지방국립대나 지방사립 출신들 있으신가요?
19
23
- 꼭 봐주세요)다른 랩실도 이런지요? 실험실 군기 관련.
6
25
대학원도 아이비리그면 전공랭킹과 상관없는 prestige가 있나요?
0
36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1.01.06
2021.01.06
2021.01.06
대댓글 1개